윙배너
윙배너

2023년 반도체 산업 침체 속에서도 AI 분야 '성장세'

2023년 반도체 산업 침체 속에서도 AI 분야 '성장세' - 산업종합저널 전자
MS COPILOT 생성 이미지

지난해 반도체 산업은 전반적으로 침체됐다.

옴디아(Omdia)의 최근 경쟁 양상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5천977억 달러였던 매출이 2023년에는 5천448억 달러로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감소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기록적인 성장세를 보였던 마지막 2년 이후에 온 것으로, 반도체 시장의 순환적 특성을 보여준다.

옴디아의 수석 연구 분석가인 클리프 라임바흐(Cliff Leimbach)는 '코로나 시대에 시작된 확장 상승은 끝났다'라며, '팬데믹 기간에 반도체 수요가 급증해 시장 부족으로 이어진 후 상황이 역전됐다. 수요는 거시 경제 요인으로 인해 감소한 반면 반도체 컴포넌트 공급은 증가했다'라고 설명했다.

2023년 반도체 업계의 전반적인 침체에도 불구하고 AI는 이 분야에 집중한 기업들이 그 혜택을 보면서 업계의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부상했다. 엔비디아는 반도체 매출을 2022년보다 두 배 이상 늘려 2023년 490억 달러를 달성함으로써 이 분야의 분명한 승자가 됐다. 이러한 성과는 2019년 팬데믹 이전까지 엔비디아의 반도체 매출이 100억 달러 이하였었던 것을 고려하면 더욱 인상적이다.

AI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GPU에 채택된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도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SK하이닉스가 이 부문을 주도하고 다른 주요 메모리 제조업체들이 이 분야에 진출하고 있다.

메모리 시장은 2023년 전체적으로 하락세를 보인 반면, HBM 시장은 1Gb 단위를 기준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의 강한 성장세를 2023년 내내 보였다. 옴디아는 HBM이 2024년 더 높은 150~200% 사이의 단위 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고 예측하며, 메모리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한다.

자동차 부문은 2023년 반도체 매출 성장률을 15% 이상으로 확대한 75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면서 이 시장에서 더 커진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 부문은 전기차의 증가와 자동차에 스마트 기능이 적용되면서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반도체 시장의 약 14%를 점유하고 있다.

라임바흐는 '엔비디아는 반도체 매출의 급격한 성장으로 인해 2023년 매출 기준으로 인텔에 이어 두 번째로 큰 반도체 회사가 됐다'라며, '2022년 업계 선두였던 삼성은 메모리 매출이 2021년 수준에서 거의 절반으로 줄면서 2023년 3위로 떨어졌다'라고 덧붙였다.

전통적으로 매출 상위 반도체 회사들에 속해 있던 주요 메모리 제조사들이 경기 침체로 인해 큰 타격을 입었다. 이전에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모두 매출 상위 5대 회사에 속했었다. 하지만 어려운 메모리 시장 상황 속에서 2023년에는 삼성전자가 3위, SK하이닉스가 6위,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12위를 차지했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