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인류 미래 먹거리 해결 위해 전자바이오공학 등 융합 신기술 개발 나서

식물 전극, 인바디, 플랜트 햅틱스 기술로 지속 가능한 농업 혁신 논의

인류 미래 먹거리 해결 위해 전자바이오공학 등 융합 신기술 개발 나서 - 산업종합저널 전자
플랜트로닉스 기반 식물건강 무인 자동모니터링 시스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서울대학교가 식물·농업과 전자·바이오공학을 융합해 인류의 먹거리 문제 해결을 모색하고 있다. 17일 서울대학교 호암교수회관에서 열린 ‘제1회 식물-전자공학 융합 심포지엄’은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기술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ETRI와 서울대 연구진이 그간의 연구를 통해 개발한 새로운 융합 기술들이 공개됐다. 이 기술들은 지속 가능한 농업 생태계 구축에 필요한 핵심 요소로 평가받고 있다.

ETRI와 서울대 연구진은 심포지엄에서 세 가지 주요 기술을 발표하며 기술적 가능성을 제시했다.
인류 미래 먹거리 해결 위해 전자바이오공학 등 융합 신기술 개발 나서 - 산업종합저널 전자
식물-전자공학의 구현 시나리오

우선, 식물 일체화 전극 기술은 식물의 건강 상태를 전기적으로 분석하고, 전기 자극을 통해 성장을 촉진하는 데 필요한 전극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식물의 생리적 반응을 전기 신호로 분석해 보다 정밀한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식물 인바디 기술은 식물 내부에 다양한 주파수의 전압을 가하고 미세 전류를 분석해 스트레스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이를 통해 식물의 건강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플랜트 햅틱스 기술은 촉각 기능이 없는 식물에 전기적 자극을 부여해 외부 환경 변화와 병충해와 같은 요인에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식물이 다양한 외부 자극에 보다 적극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