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세계 4대 IT 허브’ 인도 벵갈루루, 9월 글로벌 포토닉스·레이저 전시회 개최

7억 달러 투입한 국가 양자 전략… 한국 기업에 기회 열려

‘세계 4대 IT 허브’ 인도 벵갈루루, 9월 글로벌 포토닉스·레이저 전시회 개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세계 주요 디지털 기술 거점으로 부상한 인도 벵갈루루에서 오는 9월 17부터 19일까지, 글로벌 광기술 산업을 조망할 ‘레이저 월드 오브 포토닉스 인도 2025(LASER WORLD OF PHOTONICS INDIA 2025)’가 열린다. 전시회는 벵갈루루 국제전시센터(BIEC)에서 개최되며, 광학·레이저·실리콘 포토닉스 분야의 연구 성과와 산업 응용을 연결하는 첨단 기술 교류의 장이 마련된다.

인도 정부는 포토닉스와 양자컴퓨팅을 핵심 전략 산업으로 지정하고, 8년간 7억2천만 달러 규모의 예산을 배정했다. 전자정보기술부(MeitY)는 광집적회로(PIC) 상용화에 집중하고 있으며, 과학기술부(DST)는 ‘국가 양자 미션’을 통해 기술 주권 확보에 나섰다.

시장조사기관 리서치네스터(Research Nester)는 글로벌 실리콘 포토닉스 시장이 2037년까지 약 1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광신호를 활용한 데이터 전송과 연산 기술은 6G, AI, 양자통신 분야에서 필수로 평가받고 있다.

이런 흐름 속에서 벵갈루루는 실리콘밸리, 보스턴, 런던에 이어 세계 4대 기술 클러스터로 자리 잡았으며, 아시아 지역의 실리콘 포토닉스 혁신을 견인하는 거점으로 주목받고 있다. 250여 개의 관련 기업과 연구소가 밀집해 있는 이 도시는 산학연 협력을 바탕으로 산업 생태계를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대표적 사례로, 인도공과대학 마드라스(IIT Madras)에 설립된 '프로그래머블 광집적회로 및 시스템 센터(CPPICS)'는 정부와 민간의 공동 투자로 출범했다. 초기 자금은 26억6천500만 루피 규모이며, 실리콘 포토닉스 패키징 전문 기업 이즈모 마이크로시스템즈(izmo Microsystems)가 약 3억2천500만 루피의 현물 기여를 통해 참여했다.

9월 벵갈루루 전시회는 포토닉스 기술의 전주기 밸류체인을 선보이며, 데이터센터·AI·양자컴퓨팅·의료 이미징 등 주요 응용 분야의 기술 흐름을 집중 조명한다. 2024년 뭄바이 행사에서는 22개국 120여 개 기업, 4천300여 명의 전문가가 참가해 500건 이상의 비즈니스 상담이 이뤄진 바 있다.

특히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기술은 이번 행사에서 핵심 기술로 다뤄질 전망이다. 인도 레이저 산업은 연평균 18.2% 성장세를 보이며 2030년까지 42억 달러 시장으로 확장될 것으로 보인다. 적층 제조 분야의 연평균 성장률도 26.1%로 예측된다.

인도 정부는 포토닉스 외에도 뉴로모픽 컴퓨팅, 양자 키 분배(QKD), 보안 통신 등 차세대 기술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며, 기술 수입국에서 선도국으로의 도약을 꾀하고 있다.

전시회를 주최하는 메쎄뮌헨 관계자는 “벵갈루루는 항공우주, 반도체, 전자, 바이오 등 주요 산업이 집약된 도시로, 광기술 산업 확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행사는 인도의 기술 진화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플랫폼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