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오사카 엑스포서 기술과 문화로 빛난 한국

‘한국의 날’ 기점으로 12개 경제·문화 행사 집중 개최…한일 교류 역사도 재조명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무대에서 한국이 기술과 문화의 조화를 바탕으로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산업통상자원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5개 부처와 기관은 13일부터 17일까지 ‘한국주간’을 운영하며, 총 12건의 경제·문화 행사를 집중적으로 선보였다.

주요 행사로 13일 열린 ‘한국의 날’(National Day) 기념식에는 한일 양국 주요 인사와 일반 관람객 350여 명이 참석했다. ‘한국의 날’은 엑스포 조직위원회가 각 참가국에 배정한 공식일로, 해당 국가의 경제·문화·외교적 위상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자리다. 이날 행사는 조선통신사의 일본 입국을 재현한 ‘조선통신사 행렬’로 시작됐으며, 백제의 문화를 일본에 전한 인물 ‘미마지’의 일화를 바탕으로 한 전통 공연이 이어졌다. 무용과 타악의 조화를 통해 한국관의 메시지인 ‘마음을 모아 세계와 연결된다’를 시각적으로 표현했다.

기념식을 마친 뒤, 산업부·문체부 장관을 비롯한 한일 주요 인사들은 서로의 국가관을 함께 참관했다. 일본관은 ‘Between Lives(생명과 생명 사이)’를 주제로 구성되었으며, 식물·농장·공장을 테마로 폐기물 재활용과 순환경제 구현을 첨단 기술로 보여줬다. 한국관은 ‘With Hearts(마음을 모아)’라는 주제 아래 AI, 수소연료전지, K-POP 등을 결합해 환경 회복과 세대 간 연결을 입체적으로 표현했다. 지난달 13일 개관한 한국관은 한 달간 약 35만 명이 찾으며, 관람객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전시 공간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같은 날 오후에는 삼성전자, 현대차 등 주요 기업 인사들과 함께 ‘한국 우수상품전’, ‘한국관광 페스타’, ‘K-Food Fair’ 등의 부대행사도 진행됐다. ‘우수상품전’에는 국내 90여 개 중소·중견기업이 참가했으며, 오사카 현지의 바이어 160여 개사가 참여한 가운데 B2B, B2C 전시가 병행됐다. 특히 일반 관람객을 위한 소비자관은 20대 여성 ‘민아’의 라이프스타일을 주제로, 아침부터 저녁까지의 생활 흐름에 맞춰 화장품, 생활용품, IT가전, 모빌리티 제품 등 다양한 품목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오사카 엑스포서 기술과 문화로 빛난 한국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산업부 장관은 “한국의 라이프스타일과 문화에 대한 관심이 기술과 제품에 대한 신뢰로 확장되고 있다”며, “엑스포 현장에서 확인된 융합 가능성을 바탕으로 산업과 문화의 시너지를 국가 경쟁력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행사의 마지막 공식 일정으로 열린 ‘한일 우호 만찬’에는 양국 주요 인사 100여 명이 참석해 엑스포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하고, 실질 협력을 확대해 나가기로 뜻을 모았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