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염색산단에 세탁소 안돼요?’…대한상의, 제조현장 규제 55건 개선안 정부에 건의

점포 입주 제한부터 어린이집 설치 규제까지…현장 애로 중심 규제합리화 촉구

‘염색산단에 세탁소 안돼요?’…대한상의, 제조현장 규제 55건 개선안 정부에 건의 - 산업종합저널 동향

산업단지 내 세탁소 입주는 왜 안 되는가. 8톤짜리 설비는 왜 인증받으러 수백 km를 옮겨야 하는가. 대한상공회의소가 제조현장에 적용되는 비현실적 규제 사례 55건을 모아 정부에 개선을 요청했다. AI 전환보다 규제합리화가 더 절실하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담겼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3일 ‘새로운 성장 시리즈(7) – 제조현장 규제합리화 건의’를 통해 제조업계에서 겪는 규제 애로 55건을 정부와 국회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앞서 제기된 신산업 규제 개선 과제에 이은 후속 건의다.

이번 건의는 법령의 원칙적 해석이나 경직된 행정 운용으로 인해 생산성과 안전성, 투자효율성 모두가 저해되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염색산단에 세탁공장, 서비스업이라서 안 됩니다”
대표적 사례는 산업단지 내 업종 제한이다. 염색산단 내 세탁공장 입주는 현행 규정상 불가능하다. 세탁물 공급업이 ‘서비스업’으로 분류돼 산업단지 입주 자격을 갖추지 못해서다. 하지만 실제로는 염색공정과 밀접하게 연계되는 업종이며, 입주 허용 시 산단 내 공실 문제와 입지난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8톤짜리 변압기 들고 시험 받으러 안산까지 갑니다”
대형 전기설비에 대한 시험 인증 과정도 도마에 올랐다. 한 변압기 제조사는 에너지기관 인증을 위해 최대 8톤에 달하는 변압기를 외부 시험기관으로 운송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과 비용 부담, 납기 지연을 호소했다. 대한상의는 자체 시험설비 보유 기업에 대해 공인기관의 현장 입회 시험을 허용해줄 것을 요청했다.

“곧 해체될 테스트 설비에도 정식 허가가 필요하다고요?”
환경 인허가 제도의 유연성 부족도 문제로 지적됐다. 한 탄소중립 기업은 단기간 성능 검증을 위한 임시 설비를 설치하려 했지만, 상용설비와 동일한 인허가 절차를 요구받았다. 서류에는 배출량 예측 자료, 연간 유지관리계획서 등이 포함되며, 실제 사업화가 아닌 경우에도 동일한 기준을 적용받고 있다. 대한상의는 연구개발 목적의 테스트 설비에 대해서는 환경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거나 예외 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산단에 어린이집을 짓고 싶어도 거리 제한에 막혀”
보육시설 관련 규제도 있다.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은 직장어린이집 설치가 의무화돼 있지만, 공장 경계선에서 50m 이상 떨어져야 하는 현행 규정에 따라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위험시설과는 100m 이상 이격돼 있음에도, 공장 전체 경계를 기준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관계자는 "이격거리 기준을 공장 전체가 아닌 위험시설 외벽 중심으로 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설비 설치 높이, 기준이 달라 하자 민원 반복”
화재안전설비 설치 기준 간 불일치도 현장 혼선을 야기하고 있다. 연결송수관은 0.51m, 수동조작함은 0.81.5m 사이 설치해야 한다는 규정이 상충되며, 일체형 설비 시공 시 어느 한쪽 기준을 위반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마감재, 벽체 단차 등 변수까지 고려하면 시공이 까다롭다는 설명이다. 대한상의는 기준 일원화를 통해 감리 지적과 민원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한상의는 최근 발간한 ‘새로운 질서, 새로운 성장’ 책자에서 “제조 AI만큼이나 규제환경의 유연성이 중요하다”며 “현장 목소리에 기반한 합리적 규제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허은철 기자 기자 프로필
허은철 기자
echheo@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