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기자수첩] ‘AI 전 국민 교육’ 선언… 관건은 ‘현장 작동성’

초·중등 AI 중점학교 확대 등 과제는 방대… 교원 확보·지역 격차 해소 '정밀도'가 핵심

[기자수첩] ‘AI 전 국민 교육’ 선언… 관건은 ‘현장 작동성’ - 산업종합저널 정책
교육부가 ‘모두를 위한 AI 인재양성’ 방안을 내놨다. 초등학생부터 재직자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 AI 교육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생성형 AI가 일상화된 시대, 기술의 보편화를 교육 정책에 반영한 첫 대규모 로드맵이다.

문제는 계획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는가다. 초·중등 AI 중점학교 확대, 대학의 교양·융합 과목 신설, 성인 대상 콘텐츠 강화 등 과제는 방대하다. 하지만 정작 이를 수행할 교원 확보와 양성 체계는 아직 미흡하다. 정보 교과 교사 수급도 빠듯한데, 전체 교과에 AI를 결합하려면 더 정교한 교사 역량 재구조화가 필수다.

지역 격차 문제도 구조적으로 남는다. 정부는 거점국립대를 인재 양성 허브로 육성하겠다고 했지만, 수도권 중심의 인프라와 산업 수요를 단기간에 분산시키긴 어렵다. 지역 기반 교육기관이 실제 산업 현장과 어떻게 연계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교육이 산업과 기술을 따라가려면 단순 보급을 넘어 활용 역량과 융합 사고를 키워야 한다. 기업 현장은 기능을 넘는 문제 해결형 인재를 필요로 하지만, 교육 현장은 여전히 도입기 수준에 머물고 있다.

[기자수첩] ‘AI 전 국민 교육’ 선언… 관건은 ‘현장 작동성’ - 산업종합저널 정책

정부는 AI 3대 강국을 목표로 내세웠다. 그러나 진짜 경쟁력은 수치보다 구조에서 나온다. 설계 없는 확장은 교육의 질 하락과 현장 혼란을 부를 뿐이다. 이제 필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정밀도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한국 제조업이 직면한 새로운 생존 법칙

세계 공급망의 지도가 다시 그려지고 있다. 과거 ‘저비용·고효율’ 중심의 글로벌 분업 체계는 팬데믹, 미·중 무역 갈등, 지정학적 충돌을 거치며 균열이 깊어졌다. 원자재 확보, 기술 안보, 환경 규제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산업 경쟁력의 기준은 가격이 아니라 안정적 공급망 유지 능력으로 옮겨

[칼럼] 기술 패권의 전환점, 한국 AI가 직면한 현실과 도전

산업 트렌드와 변화하는 시각에 맞춰 정기적으로 칼럼을 업데이트하는 창작노마드입니다. 2025년 현재, 한국의 인공지능(AI) 기술 수준은 세계 주요국과 비교해 여전히 뚜렷한 격차를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글로벌 R&D 전략지도'에 따르면, 한국은 AI 4대 핵심 분야(효율적

[기자수첩] 폭염 안전법과 쿠팡 파업 예고에 드러난 노동 현실

연일 계속되는 폭염 속, 산업안전보건기준이 바뀌었다. 이달 17일부터는 체감온도 33도 이상일 때 ‘2시간마다 20분 휴식’이 법으로 명시됐다. 고용노동부는 ‘폭염안전 5대 수칙’을 발표하며 강제성까지 강조했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달라진 게 없다는 목소리가 잇따른다. 제도가 마련돼도 그 제도

[기자수첩] 확장과 현실 사이 "킨텍스가 잃어가는 것들…"

국내 최대 전시 인프라인 킨텍스(KINTEX)가 제3전시장 건립이라는 대형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그러나 외연 확장의 이면에 드러나는 운영 현실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선 신뢰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미래를 위한 투자와 현재의 기본 요건 사이에서, 킨텍스는 지금 균형점을 다시 찾아야 할 시점

[기자수첩] "팹리스와 파운드리, 고립을 끝낼 때다"

한국 시스템반도체 산업이 다시 한 번 전환점을 맞고 있다. 지난 10일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열린 ‘팹리스-파운드리 상생협의회’는 단순한 업계 간 만남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글로벌 기술 경쟁이 격화되고 공급망 불확실성이 높아진 지금, 이 자리는 국내 반도체 생태계가 구조적 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