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전기전자·화학·기계금속장비·비금속광물 등 전 업종 모두 침체 수준

기분좋게 스타트 한 올해 기업경기전망지수 한 분기만에 꺾여

전기전자·화학·기계금속장비·비금속광물 등 전 업종 모두 침체 수준 - 산업종합저널 전자

미중 무역협상 등으로 상승세로 시작했던 올해 기업경기전망지수가 한 분기만에 꺾였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하락 반전하며, 최근 10년래 가장 낮은 전망치를 기록했다.

특히 코로나19가 미국 유럽 등 전 세계로 급속히 확산되면서 수출둔화, 중간재 조달애로 등으로 경기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청주상공회의소가 발표한 기업경기전망조사(BSI)에 따르면, 1분기 BSI 실적치는 전 분기 대비 26p 감소한 ‘50’을 기록했다. 지난해 12월 중국에서 발생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코로나19 여파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글로벌 경제가 급격히 위축되고 내수침체가 더욱 심화됨에 따라 1분기 실적은 최근 5년이래 가장 큰 낙폭으로 감소한 최저치다. 경영환경이 그 어느 때보다 좋지 않은 상황임을 방증한다.

모든 항목에서 기준치(100) 이하를 기록하며 부정적 전망을 내놨다. 설비투자(80)는 부진/매출(71), 영업이익(68), 자금조달여건(68), 체감경기(63) 등 모두 침체 수준일 것으로 내다봤다. 하락세로 전환하면서 설비투자는 전 분기 대비 가장 큰 폭(16p)으로 떨여졌으며, 영업이익이 가장 작은 폭(7p)으로 감소했다.

전 업종에서 기준치(100)이하를 기록하며, 부정적 전망이 우세했다. 전기전자(60), 화학(56), 기계금속장비(53), 목재펄프종이(49), 음식료품(40), 비금속광물(34), 섬유의복(12) 등 전 업종 모두 침체 수준일 것으로 예측했다.

섬유의복 업종이 전 분기 대비 가장 큰 폭(43p)으로 하락하며 가장 낮은 수치를, 목재펄프종이가 가장 작은 폭(18p)으로 하락했다.

규모별 전망을 보면, 대기업(93->50), 중소기업(81->72) 모두 기준치 이하를 보였다. 대기업(50)이 전 분기 대비 큰 폭(43p) 감소하며 중소기업(72) 보다 더 낮은 수치를 기록한 것이다.

형태별 전망을 보면, 수출기업(99->86), 내수기업(79->67) 모두 기준치 이하다. 내수기업(67)은 전 분기 대비 큰 폭(12p) 떨어지면서 수출기업(86)보다 더 낮았다.
안호진 기자
news77@industryjo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8월 수출 부진 지속

8월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와 국제 정세 불안정의 여파로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주요 수출국인 미국, 이탈리아, 튀르키예 등의 시장에서 하락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공작기계 수출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세 8월 공작기계 수주

[뉴스그래픽] 공작기계 생산·수출 동반 위축…1월 실적 급락

1월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와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단축으로 전반적인 실적이 부진했다. 생산과 수출 모두 큰 폭으로 줄었고, 내수도 위축된 흐름을 보였다. 다만 수주는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며 낙폭을 일부 만회했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 따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