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 국제해사기구, 탈탄소 강화…신흥경제국 기회 잡나

투자 규모, 1.9조 달러까지 상승 전망

[뉴스그래픽] 국제해사기구, 탈탄소 강화…신흥경제국 기회 잡나 - 산업종합저널 동향


해운 부문의 탈탄소 목표가 강화추세다. 이에 국제해상운송 및 물류 허브 지역에 속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멕시코, 인도네시아에 탄소제로 관련한 경제적 기회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세계경제포럼(WEF, 다보스포럼)은 온라인 페이지를 통해 이와 같은 전망을 담고 있는 ‘These emerging economies are poised to lead shipping's net-zero transition’의 제목의 기고문을 게시했다.

이에 따르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3%를 해운업이 차지하고 있다. 이에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는 2050년까지 해운 부문 배출량을 2008년 대비 50% 감축하겠다는 2018년의 목표를 세운바 있다.

또한, 국제해사기구가 기존의 목표에서 2050년까지 전 부문의 탈탄소화 목표를 공식화할 경우에는 투자 규모가 1.9조 달러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기고문에서는 주요 해상 운송 루트를 따라 위치하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물류 허브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남아공이 해운 탈탄소화의 주요 수혜자가 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또한, 멕시코는 라틴 아메리카의 핵심 물류 허브이며 아시아 및 아프리카, 유럽과도 연결돼 있다. 대서양과 태평양 연안에 걸쳐 100개 이상의 항구가 있다.

이 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22%, 2050년까지 50% 감축할 방침이다. 더불어, 2024년까지 국가 에너지 믹스의 35%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할 예정이다.

기고문에서는 라틴 아메리카 3대 규모 항구인 만사니요(Manzanillo)가 해양·시멘트·광업 부문의 녹색연료 허브로서의 역할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네시아는 1천700개의 크고 작은 항구가 있다. 이 나라는 지열‧태양열 형태의 광대한 재생 에너지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9%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이에 기고문에서는 해운 업계가 에너지 전환을 함으로써 1조에서 1.4조 달러 규모의 투자 기회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공정‧공평한 방식으로 녹색연료 생산을 확대하는 데 해당되는 투자를 하려면 정책‧
다자간 합의‧지원 체계 등을 수립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