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뉴스그래픽] 지난해 기술무역 규모, 336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

대·중견기업, 적자 개선했으나 중소기업 적자폭↑

[뉴스그래픽] 지난해 기술무역 규모, 336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 - 산업종합저널 동향


지난해 한국의 기술무역 규모는 전년 대비 12.5% 오른 336억1천300만 달러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5일 '2021년도 기술무역통계'를 발표했다. 기술 수출액은 149억2천100만 달러로 지난해인 2020년과 견줘 16.8%(21억4천100만 달러) 상승했다. 도입액은 186억9천200만 달러로 9.3%(15억9천400만 달러) 올랐다.

도입액 대비 수출액 비율인 기술무역수지비는 전년 대비 0.05포인트 증가해 0.80으로 올라섰다.

산업별로 보면, 전기∙전자의 기술무역규모는 121억2천600만 달러로 전년도 1위였던 정보∙통신의 115억 4천100만 달러를 추월했다.

전기∙전자의 수출과 도입은 전년과 견줘 각각 19.7%, 40.1% 올랐다. 과기정통부는 규모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대기업의 수출과 도입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정보∙통신 산업의 수출액은 전년과 견줘 2.8% 소폭 증가했다. 대신에 도입액이 19.7% 크게 줄면서, 기술무역수지는 지난해 5억4천200만 달러 적자에서 9억2천800만 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화학, 기계 산업의 기술무역수지도 흑자 전환했다.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기술 수출 증가가 흑자를 견인했다는 게 과기정통부의 설명이다.

화학의 경우 대·중견기업의 기술 수출이 3배 이상 늘면서, 기술무역수지는 지난해 6억7천600만 달러 적자에서 3억6천300만 달러로 흑자 전환했다.

기계 산업도 대·중견기업 기술 수출액이 각각 32.1%, 72.6% 증가하면서, 지난해 1억2천900만 달러 적자였던 무역수지는 1억7천700만 달러로 흑자 개선됐다.

기업별로 보면, 대·중견기업은 수출 및 도입 지표에서 모두 오른 반면, 중소기업은 두 지표 모두 하락했다.

특히, 중소기업은 수출액과 도입액이 각각 –46.3%, -29.5% 감소하면서 기술무역 적자 규모가 13억 2천만 달러로 커졌다.

한국 최대 기술무역국은 미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미국 상대 수출 및 도입액은 전년과 견줘 각각 25.2%, 19.0% 오르면서, 기술무역 규모는 총 101억9천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년도 기술수출국 1위였던 중국은 2021년 5.2% 오르는 데 그치면서 미국에 1위를 내줬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9월 산업활동, 선행 및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흐름 상이

국내 전월대비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하락,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상승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대비 0.1p 하락했다. 순환변동치가 100 미만이면 추세보다

[뉴스그래픽] ‘직원경험’…기업 성장의 새로운 기준으로 떠올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직원들이 회사에 기대하는 기준이 변화하면서 이에 대응하지 않으면 유능한 인재를 놓칠 수 있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이로 인해 직원경험(EX)을 높이는 것이 기업의 우선 순위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워크데이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미라 한국타이어 ESG 위원장겸 사외이

[뉴스그래픽] 한국, 오는 2027년 글로벌 지식재산 톱3 도약

특허청은 새정부의 지식재산 분야 종합계획 ‘역동적 경제 실현을 위한 지식재산 정책방향’을 19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오는 2027년까지 글로벌 IP(Intellectual Property) TOP 3 도약을 목표로, 지식재산 전 분야의 역량을 강화해 글로벌 지식재산 선진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뉴스그래픽]7월 공작기계, 글로벌 침체로 부진

지난 7월 공작기계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원자재 및 금리 인상 등에 따른 세계 경제 둔화 영향으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공장기계 수주는 2천40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견줘 30.6% 하락했다. 지난달 대비 17.0% 떨어

[뉴스그래픽]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캠페인 전개…국민들 인식은?

국민들이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시 일자리, 소비, 관광 등 경제효과를 가장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부산세계박람회유치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지난 20, 21일 양일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70차 BIE 총회’를 계기로 박람회 유치를 위한 국내외 전방위적 홍보 캠페인을 전개했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