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뉴스그래픽]전기버스에 밀린 수소버스…올해 400대 보급한다

가격·인프라·보증기간 차이 커

[뉴스그래픽]전기버스에 밀린 수소버스…올해 400대 보급한다 - 산업종합저널 동향


정부가 올해 수소버스 400대 보급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오는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버스나 트럭 등) 3만 대 도입을 위한 지원 사업의 일환이다.

수소 생태계 기반을 닦기 위해선 수소상용차 도입이 절실하다. 그러나 같은 친환경 차량인 전기버스와 비교해 가격, 인프라 등에서 밀리면서, 보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수소연료전지시스템 구매지원 시범사업’을 발표했다.

지난해 말 기준 보조금을 받고 국내에 보급된 수소상용차는 총 288대(버스 283, 화물 5)다.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에 따라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는 3만 대까지 보급될 계획이다.

다만, 수소버스 도입은 좀처럼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수소상용차 보급 목표는 2022년까지 2천 대 규모였으나, 보급 부진으로 211대 까지 대폭 줄었다.

보급이 부진한 원인으로 산업부는, 수소버스가 전기버스보다 가격이 높고 충전 시설과 같은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점을 지목했다.

수소버스 한 대 가격은 약 6억3천만 원으로 전기버스보다 약 2억 원 가량 가격이 높다. 충전소의 경우 전기차는 20만 개소가 설치돼 있지만, 수소는 163곳으로 한참 아래다.

보증기간이 짧은 것도 보급이 더딘 원인으로 꼽았다. 전기버스는 9년에 90만km를 보증하지만, 수소버스는 5년 50만km로 보증기간이 상대적으로 짧다.

정부가 수소버스 확대로 얻고자 하는 것은 생태계 기반 확보다. 버스나 트럭 등 수소상용차 보급이 확대되면 관련 인프라나 수소에너지 수요가 덩달아 증가하고, 이는 수소경제의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다.

기후 대응 차원에서도 수소버스 도입은 필요하다. 차종별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t)의 경우 버스는 62.6으로 배출량이 승용차(3.9)의 16배에 달한다.

또한, 자동차 산업 경쟁력 확대 차원에서도 보급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취지다. 최근 외국산 저가 전기버스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어서다. 수소버스의 경우 핵심 부품 국산화율이 99%에 달한다.

이번 사업에서 산업부는 수소업계와 함께 ▲연료 전지시스템 구매지원 보조금 ▲무상 안전 특별점검 서비스 ▲보증 기간 연장(9년 90만km) 등의 지원책을 내놨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9월 산업활동, 선행 및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흐름 상이

국내 전월대비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하락,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상승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대비 0.1p 하락했다. 순환변동치가 100 미만이면 추세보다

[뉴스그래픽] ‘직원경험’…기업 성장의 새로운 기준으로 떠올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직원들이 회사에 기대하는 기준이 변화하면서 이에 대응하지 않으면 유능한 인재를 놓칠 수 있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이로 인해 직원경험(EX)을 높이는 것이 기업의 우선 순위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워크데이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미라 한국타이어 ESG 위원장겸 사외이

[뉴스그래픽] 한국, 오는 2027년 글로벌 지식재산 톱3 도약

특허청은 새정부의 지식재산 분야 종합계획 ‘역동적 경제 실현을 위한 지식재산 정책방향’을 19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오는 2027년까지 글로벌 IP(Intellectual Property) TOP 3 도약을 목표로, 지식재산 전 분야의 역량을 강화해 글로벌 지식재산 선진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뉴스그래픽]7월 공작기계, 글로벌 침체로 부진

지난 7월 공작기계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원자재 및 금리 인상 등에 따른 세계 경제 둔화 영향으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공장기계 수주는 2천40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견줘 30.6% 하락했다. 지난달 대비 17.0% 떨어

[뉴스그래픽]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캠페인 전개…국민들 인식은?

국민들이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시 일자리, 소비, 관광 등 경제효과를 가장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부산세계박람회유치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지난 20, 21일 양일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70차 BIE 총회’를 계기로 박람회 유치를 위한 국내외 전방위적 홍보 캠페인을 전개했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