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인공지능으로 새롭게 등장할 직무, 직업 대응 필요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 산업종합저널 동향

인공지능은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엔 두려움과 기대가 혼재돼 있다. 고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인공지능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두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직업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직무 대체가능성’과 ‘일자리 대체가능성’을 구분해야 한다고 말한다. 인공지능이 정형화된 일부 직무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도, 궁극적으로 ‘일자리’를 대체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의미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지난 15일 ‘AI는 새로운 일과 직업의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보고서(이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인공지능 기술이 직업을 대체하기보다 일의 속성을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직업을 생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직업을 구성하는 핵심작업과 보조작업을 각각 유지·변화·대체로 나누어 3×3 매트릭스로 구성한 결과, 전체 872개 직업 중 756개 직업이 ‘변화’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는 1개 직업, ‘대체’는 115개 직업이 위치했다.

보고서는 인공지능에 의한 직업의 변화를 앞두고 새로운 직무에 대한 ‘재숙련화(re-skilling)’와 인공지능을 통해 기존 직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숙련고도화(up-skilling)’의 필요성이 커질 것으로 진단했다.

인공지능이 직무나 직업을 대체하더라도 생산성 향상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거나, 기술혁신으로 새로운 시장·직업이 창출되면서 오히려 고용이 유지·증대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해 발간한 ‘AI경제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는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창출이 소멸을 상쇄해 결과적으로 노동수요를 높였다고 분석했다.

두 보고서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 것이 아니라 인간보다 효율적인 몇 가지 직무만을 제한적으로 대체할 것이라는 견해를 같이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확산에 따른 노동수요 변화에 준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조성익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기술적 요인에 따라 미래를 전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사회가 어떤 방향성과 원칙을 가지고 대응할 것인가가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9월 산업활동, 선행 및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흐름 상이

국내 전월대비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하락,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상승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대비 0.1p 하락했다. 순환변동치가 100 미만이면 추세보다

[뉴스그래픽] ‘직원경험’…기업 성장의 새로운 기준으로 떠올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직원들이 회사에 기대하는 기준이 변화하면서 이에 대응하지 않으면 유능한 인재를 놓칠 수 있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이로 인해 직원경험(EX)을 높이는 것이 기업의 우선 순위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워크데이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미라 한국타이어 ESG 위원장겸 사외이

[뉴스그래픽] 한국, 오는 2027년 글로벌 지식재산 톱3 도약

특허청은 새정부의 지식재산 분야 종합계획 ‘역동적 경제 실현을 위한 지식재산 정책방향’을 19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오는 2027년까지 글로벌 IP(Intellectual Property) TOP 3 도약을 목표로, 지식재산 전 분야의 역량을 강화해 글로벌 지식재산 선진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뉴스그래픽]7월 공작기계, 글로벌 침체로 부진

지난 7월 공작기계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원자재 및 금리 인상 등에 따른 세계 경제 둔화 영향으로 부진을 면치 못했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 따르면 지난 7월 공장기계 수주는 2천40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견줘 30.6% 하락했다. 지난달 대비 17.0% 떨어

[뉴스그래픽]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캠페인 전개…국민들 인식은?

국민들이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시 일자리, 소비, 관광 등 경제효과를 가장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30부산세계박람회유치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지난 20, 21일 양일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170차 BIE 총회’를 계기로 박람회 유치를 위한 국내외 전방위적 홍보 캠페인을 전개했다.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