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인공지능으로 새롭게 등장할 직무, 직업 대응 필요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 산업종합저널 동향

인공지능은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엔 두려움과 기대가 혼재돼 있다. 고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인공지능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두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직업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직무 대체가능성’과 ‘일자리 대체가능성’을 구분해야 한다고 말한다. 인공지능이 정형화된 일부 직무를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도, 궁극적으로 ‘일자리’를 대체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의미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지난 15일 ‘AI는 새로운 일과 직업의 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보고서(이하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인공지능 기술이 직업을 대체하기보다 일의 속성을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직업을 생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직업을 구성하는 핵심작업과 보조작업을 각각 유지·변화·대체로 나누어 3×3 매트릭스로 구성한 결과, 전체 872개 직업 중 756개 직업이 ‘변화’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지’는 1개 직업, ‘대체’는 115개 직업이 위치했다.

보고서는 인공지능에 의한 직업의 변화를 앞두고 새로운 직무에 대한 ‘재숙련화(re-skilling)’와 인공지능을 통해 기존 직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숙련고도화(up-skilling)’의 필요성이 커질 것으로 진단했다.

인공지능이 직무나 직업을 대체하더라도 생산성 향상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거나, 기술혁신으로 새로운 시장·직업이 창출되면서 오히려 고용이 유지·증대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한국노동연구원이 지난해 발간한 ‘AI경제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연구는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창출이 소멸을 상쇄해 결과적으로 노동수요를 높였다고 분석했다.

두 보고서는 인공지능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는 것이 아니라 인간보다 효율적인 몇 가지 직무만을 제한적으로 대체할 것이라는 견해를 같이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확산에 따른 노동수요 변화에 준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조성익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기술적 요인에 따라 미래를 전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에 대해 사회가 어떤 방향성과 원칙을 가지고 대응할 것인가가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 AI 고도화로 대체될 직업은?

챗GPT의 충격적인 등장으로, 코로나19 발병 이후 메타버스에 꽂혀있던 우리의 시선은 어느새 AI를 향하고 있다. IT업계를 넘어 각종 산업계, 심지어 행정·법조계에까지 AI의 영향력이 미치면서 인류는 ‘AI가 우리의 삶을 어디까지 바꿀 것인가’에 대해 연일 토론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금융

[뉴스그래픽] 2023년 기계산업, 경기 침체 분위기 속 긍정적 요인 존재

올해 한국의 기계산업 경기가 안정 또는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지만, 약간의 긍정적 요인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이 최근 발표한 ‘기계산업 2022년 성과와 2023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기계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112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인공지능은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엔 두려움과 기대가 혼재돼 있다. 고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인공지능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두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직업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직무

[뉴스그래픽]인공지능 생태계 독점 우려…“국내 기업 적극 지원해야”

최근 인공지능(이하 AI) 생태계가 폐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국내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수출입은행이 지난달 25일 발표한 ‘2023년 인공지능 글로벌 트렌드(이하 보고서)’는 ‘최근 AI 생태계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 중심으로 빠르게 독점화 중이며, 주류

[뉴스그래픽]SEMI,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 1천억 달러 돌파"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재료 관련 산업 협회인 SEMI가 내년 반도체 장비 시장이 크게 반등하며 매출액 1천 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올해 판매가 부진했던 D램과 낸드 장비 매출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SEMI는 최근 발표에서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