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AW2023] 클라우드 투자, 몸집 커지는 보안 시장

로크웰오토메이션코리아, ‘스마트팩토리·오토메이션월드’ 5가지 테마 구성 참가

정부와 공기업 등 공공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클라우드 수요도 덩달아 몸집을 키우는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당연히 보안에 대한 관심은 커질 수밖에 없다.

산업 자동화 및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야 기업인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Rockwell Automation Korea)가 8일부터 10일까지 일정으로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 최신 제품과 솔루션을 현장에서 시연했다.

로크웰 오토메이션은 이에 앞서, 전시회 개막 첫날 기자간담회에서 ‘Results Achieved’라는 주제로, AR/VR, 클라우드 등을 기반으로 한 소프트웨어 분야부터 ICT 제품군(독립형 카트 기술) 등 전통적으로 강점을 보여왔던 하드웨어 분야까지, 스마트공장 및 산업자동화에 필요한 최신 솔루션과 제품군을 총 5개의 테마로 구성해 전시한다라고 밝혔다.
[AW2023] 클라우드 투자, 몸집 커지는 보안 시장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Rockwell Automation Korea) 최태능 상무

이날 LifeCycle Service 사업본부장 최태능 상무는 “최근 OT(operation technique)보안에 고객들의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고객의 클라우드 투자가 많아질수록 보안 시장도 커지기 때문에 사이버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보안 인력양성 등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데스크톱, 노트북 및 휴대폰과 같은 디바이스를 악성 소프트웨어로부터 보호하는 엔드포인트 보안을 구현해 안전한 서버를 구축하고 사고에 대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로크웰 오토메이션 측은 자체 조사 결과를 인용, AR 솔루션은 유지 관리 워크 플로우 효율화, 작업 개선, 원격 지원이 가능해 이슈당 평균 42%의 다운타임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AW2023] 클라우드 투자, 몸집 커지는 보안 시장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Rockwell Automation Korea) 신동진 이사

Intelligent Device (ITD) 사업본부장 신동진 이사는 “생산 현장에 어떤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점차 기기가 스마트해지고 있다”며 “ICT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데이터 공유 및 다양한 보안 솔루션을 본격화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다양하고 강력한 데이터 분석 SW와 인프라 고가용성 확보를 통해 현장에서 본사까지 동일한 데이터 기반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을 높였다고 부연했다.

이에 바탕으로 스마트 디바이스 지원에도 힘쓰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분석해 고객사가 더 수월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스마트 디바이스의 데이터를 기록하고 분석해 고객사가 더 수월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지속 연구개발하고 있다는 신 이사는 “스마트 디바이스 없이는 커넥티드 엔터프라이즈를 구현할 수 없다. 센서, 모터 제어 제품은 물리적 세계를 디지털 세계로 전환하는 기본적인 요소”라는 점을 강조했다.
[AW2023] 클라우드 투자, 몸집 커지는 보안 시장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로크웰 오토메이션 코리아 권오혁 이사가 AW 2023 전시부스에서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한편, 로크웰오토메이션은 기자간담회를 마치고 최근 로크웰 오토메이션이 주력하는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 테마와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 커넥티드 서비스 솔루션 등 5가지 테마존 부스를 투어하는 행사를 진행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