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공작기계 시장, 美 대선으로 불확실성과 불안정한 국제 정세 등 악재

생산·출하 하락에도 범용절삭기계 102.8% 증가

공작기계 시장, 美 대선으로 불확실성과 불안정한 국제 정세 등 악재 - 산업종합저널 기계

지난해 10월 공작기계 시장은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주요국 통상정책 변화의 영향을 받아 전반적으로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특히 미국 대선과 국제 정세로 인한 불안감이 주요 변수로 작용하며, 국내외 수출 및 생산 실적이 모두 감소세를 기록했다. 국내 공작기계 시장의 수주, 생산, 수출 상황과 주요 국가들의 동향을 중심으로 그 변화를 살펴본다.

국내 공작기계 시장에서 10월 수주는2천187억 원으로, 전월 대비 6.9% 감소했다. 수출과 내수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였는데, 수출 수주는 1천416억 원으로 전월 대비 9.6%, 전년 동월 대비 13.8% 줄었다.

내수 수주는 771억 원으로 전월 대비 소폭 감소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로는 5.9% 감소하는 데 그쳤다. 2024년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수주는 2조 5천155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 줄어든 실적을 보였다. 특히 주요 품목인 NC절삭기계와 성형기계 모두 감소세를 보인 반면, 범용절삭기계는 유일하게 증가세를 기록해 주목받았다.

생산 부문에서도 감소세가 이어졌다. 10월 공작기계 생산은 1천941억 원으로, 전월 대비 7.1%, 전년 동월 대비 6.4% 줄었다.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생산은 2조 1천153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9% 줄어 저조했다. 생산 품목별로는 NC절삭기계, 성형기계, 범용절삭기계 모두 전월 대비 감소했으며, 특히 NC선반과 머시닝센터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수출은 전반적으로 큰 폭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10월 공작기계 수출은 1억 7천7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21.5%, 전년 동월 대비 24.9% 마이너스 성장했다.

지역별로는 아시아, 북미, 유럽 등 주요 수출 지역에서 모두 감소세를 보였으며, 특히 북미와 유럽의 감소폭이 컸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중국과 베트남이 소폭 증가한 반면, 인도는 감소했다.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수출은 20억 6,2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0% 줄었다. 품목별로는 NC절삭기계와 성형기계가 모두 부진했으나, 레이저가공기와 연삭기는 일부 증가세를 나타냈다.

수입 부문은 10월 한 달 동안 5천9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27.0%, 전년 동월 대비 9.2% 적었다. 주요 수입국인 일본과 중국에서 감소세가 이어졌으나, 태국은 증가세를 보였다. 1월부터 10월까지의 누적 수입은 7억 4천4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6% 증가하며 다른 부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방했다.

국외 시장에서도 주요 국가들은 대체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일본의 9월 공작기계 수주는 1천254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6.4% 감소했으며, 대만의 10월 공작기계 수출은 1억 8천4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9.2% 줄었다. 반면 미국은 9월 수주에서 4억 5천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14.6% 증가해 다른 국가들과 차이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글로벌 통상 환경 변화와 주요국의 통상정책은 국내외 공작기계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수출 감소는 주요 수출국에서의 통상 장벽과 경기 둔화로 인해 더욱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들은 보다 유연하고 전략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