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공작기계 시장, 글로벌 투자 둔화 속 수출 2억 달러 하회

11월 공작기계 수주 1,928억 원… 내수 감소세 지속

공작기계 시장, 글로벌 투자 둔화 속 수출 2억 달러 하회 - 산업종합저널 기계

공작기계 시장이 인도, 베트남 등 신흥국의 설비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 중국, 독일 등 주요국의 투자 둔화로 11월 수출이 2억 달러를 밑돌았다. 국내 생산과 수주는 전월 대비 감소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국가별 편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11월 공작기계 수주는 1,928억 원으로 전월 대비 11.8% 감소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3.1% 줄었다. 내수는 478억 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4.5% 감소한 반면, 수출 수주는 1,451억 원으로 6.9% 증가했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수주는 2조7,08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다. 품목별로는 NC절삭기계(1,881억 원)가 전월 대비 12.5% 줄어든 반면, 범용절삭기계(35억 원, 25.2% 증가)와 성형기계(12억 원, 44.9% 증가)는 성장세를 보였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부문(193억 원)이 전월 대비 52.8% 감소하며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으며, 조선·항공(-50.7%), 철강·비철금속(-73.2%), 금속제품(-82.2%) 부문도 감소세를 나타냈다. 반면 전기·전자·IT(53억 원, 60.1% 증가)와 정밀기계(53억 원, 60.4% 증가)는 상승했다.

공작기계 시장, 글로벌 투자 둔화 속 수출 2억 달러 하회 - 산업종합저널 기계

공작기계 생산 1,968억 원… NC절삭기계 증가
11월 공작기계 생산은 1,968억 원으로 전월 대비 1.4%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3.5% 감소했다. 1~11월 누적 생산은 2조3,121억 원으로 전년 대비 3.0% 줄었다.

품목별로 NC절삭기계(1,808억 원, 2.3% 증가)는 전월 대비 상승했지만, 성형기계(133억 원, 9.6% 감소)와 범용절삭기계(27억 원, 1.5% 감소)는 하락했다. 머시닝센터(696억 원, 8.1% 증가)는 증가세를 유지했다.

수출 1억9,900만 달러… 아시아·유럽 수출 증가
11월 공작기계 수출은 1억9,9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11.9% 증가했으나, 전년 동월 대비 17.8% 감소했다. 1~11월 누적 수출은 22억6,100만 달러로 13.4% 감소했다.

지역별로 아시아(6,200만 달러, 3.3% 증가), 유럽(5,900만 달러, 24.4% 증가), 북미(5,500만 달러, 2.2% 증가) 모두 전월 대비 증가했다. 인도(1,800만 달러, 45.2% 증가)는 성장세를 보였지만, 중국(1,700만 달러, 3.9% 감소)과 베트남(800만 달러, 50.0% 감소)은 하락했다.

미국(5,000만 달러, 4.8% 증가), 멕시코(1,500만 달러, 132.8% 증가)는 상승했으나, 캐나다(500만 달러, 17.2% 감소)는 감소세를 보였다. 유럽에서는 독일(1,900만 달러, 44.5% 증가), 이탈리아(1,700만 달러, 47.5% 증가)가 증가했지만, 튀르키예(800만 달러, 8.0% 감소)는 하락했다.

품목별로 NC절삭기계(1억3,900만 달러, 2.3% 감소)와 범용절삭기계(900만 달러, 25.6% 감소)는 하락한 반면, 성형기계(5,000만 달러, 124.2% 증가)는 큰 폭으로 증가했다.
공작기계 시장, 글로벌 투자 둔화 속 수출 2억 달러 하회 - 산업종합저널 기계

수입 7,600만 달러… 유럽산 공작기계 수입 증가
11월 공작기계 수입은 7,6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28.6%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0.1% 상승했다. 1~11월 누적 수입은 8억2,100만 달러로 0.5% 증가했다.

대륙별로 아시아(5,000만 달러, 6.6% 증가), 유럽(2,300만 달러, 144.3% 증가), 북미(200만 달러, 0.3% 증가) 모두 상승했다. 일본(2,500만 달러, 7.5% 증가), 대만(500만 달러, 96.5% 증가)의 수입은 증가했지만, 중국(1,700만 달러, 5.1% 감소)은 하락했다.

유럽에서는 독일(1,100만 달러, 145.0% 증가), 스위스(600만 달러, 357.1% 증가), 이탈리아(400만 달러, 484.6% 증가)의 수입이 크게 증가하며 유럽산 공작기계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

글로벌 공작기계 시장… 일본·대만·미국 동향
일본의 10월 공작기계 수주는 1,225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9.4% 증가했다. 내수(334억 엔, 0.6% 감소)는 줄었지만, 수출(891억 엔, 13.6% 증가)은 확대됐다. 1~10월 누적 수주는 1조2,227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다.

대만의 11월 공작기계 수출은 1억9,4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7.1% 감소했다. 절삭기계(1억4,800만 달러, 14.3% 감소)는 하락했으나, 성형기계(4,600만 달러, 27.2% 증가)는 증가세를 보였다.

미국의 10월 공작기계 수주는 3억8,5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5% 감소했다. 절삭기계(3억7,900만 달러, 5.8% 감소)는 감소했으나, 성형기계(600만 달러, 17.8% 증가)는 상승했다. 1~10월 누적 수주는 37억3,600만 달러로 7.5% 감소했다.

공작기계 시장, 신흥국 중심 회복 가능성
글로벌 제조업 설비투자의 둔화 속에서도 인도, 베트남 등 신흥국의 공작기계 수요가 증가하며 시장 회복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반면, 주요국인 미국, 중국, 독일 등에서는 투자 둔화가 지속되고 있어 국가별 차별화된 시장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생성형 AI와 ChatGPT 무엇이 다를까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생성형 AI와 ChatGPT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두 기술은 모두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지만, 서로 다른 목적과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대규모 데이터

불필요한 소비를 멈춘 '요노(YONO)' 트렌드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눈에 띄게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다. 바로 ‘요노(YONO, You Only Need One)’ 트렌드다. 이 트렌드는 말 그대로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의미로, 꼭 필요한 물건만 구매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현명한 소비 행태를 가리킨다. 경제 불안과

AI 기술의 눈부신 발전, 명과 암

최근 AI(인공지능)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산업과 우리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AI 기술은 인간의 지능과 능력을 모방하고 확장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AI 기술은 생산성 향상, 효율성 증대, 새로운 산업 창출, 일자리 창출, 인간의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