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기자수첩] “보조금? 그런 거 없어요”… 중국 기업들 '한국은 여전히 유효'

자비로 한국서 열리는 전시회 참가 ‘현장성’에 승부 건다

[기자수첩] “보조금? 그런 거 없어요”… 중국 기업들 '한국은 여전히 유효'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전시장에서 만난 중국 기업 대표는 내 질문에 고개를 저었다. “보조금? 그런 거 없어요. 다 우리 돈이에요.” 말끝은 짧았지만 표정엔 짧지 않은 사연이 묻어 있었다.

ICPI WEEK 행사장에서 만난 중국 기업 대부분은 정부 지원 없이 참가했다고 답했다. 팬데믹 이후 사실상 지역정부의 보조금이 끊기다시피 했다는 것은 이제 공공연한 사실이다. 그런데도 이들은 왜 한국을 찾는 걸까.

“한국은 지리적으로도 가깝고, 기술 수용도가 높아요. 또 생각보다 관세 부담도 적고요.” 다소 투박한 통역이 오갔지만, 그 사이로 읽힌 건 ‘시장’이 아니라 ‘현장’에 직접 부딪히려는 의지였다.

실제로 중국 기업들은 대행사를 통하긴 해도 부스 예약부터 제품 디스플레이까지 대부분을 자력으로 해결했다. 제품을 자세히 설명해주던 한 업체 관계자는 “한국 소비자와 직접 눈 마주치는 일이 중요한 이유”라며 “그 눈빛 안에 시장성이 있다”고 했다.

그 말이 머릿속에 오래 남았다. 바이어 몇 명 만나고 돌아갈 거였다면, 굳이 비행기에 오르지도 않았을 것이다.
[기자수첩] “보조금? 그런 거 없어요”… 중국 기업들 '한국은 여전히 유효'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한국 전시산업계는 이제 질문을 받아야 한다. 단순히 ‘중국 기업의 물량 공세’로 볼 것인가, 아니면 ‘한국이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이라는 방증으로 볼 것인가.

중국 기업의 발길이 언제까지 이어질지는 모른다. 다만 분명한 것은, 이들은 ‘기회’를 믿고 움직였고, 우리는 ‘선택’을 받았다는 사실이다.
허은철 기자 기자 프로필
허은철 기자
echheo@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자수첩] "팹리스와 파운드리, 고립을 끝낼 때다"

한국 시스템반도체 산업이 다시 한 번 전환점을 맞고 있다. 지난 10일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열린 ‘팹리스-파운드리 상생협의회’는 단순한 업계 간 만남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글로벌 기술 경쟁이 격화되고 공급망 불확실성이 높아진 지금, 이 자리는 국내 반도체 생태계가 구조적 한

[기자수첩] 확장과 현실 사이 "킨텍스가 잃어가는 것들…"

국내 최대 전시 인프라인 킨텍스(KINTEX)가 제3전시장 건립이라는 대형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그러나 외연 확장의 이면에 드러나는 운영 현실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선 신뢰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미래를 위한 투자와 현재의 기본 요건 사이에서, 킨텍스는 지금 균형점을 다시 찾아야 할 시점

[기자수첩] “보조금? 그런 거 없어요”… 중국 기업들 '한국은 여전히 유효'

전시장에서 만난 중국 기업 대표는 내 질문에 고개를 저었다. “보조금? 그런 거 없어요. 다 우리 돈이에요.” 말끝은 짧았지만 표정엔 짧지 않은 사연이 묻어 있었다. ICPI WEEK 행사장에서 만난 중국 기업 대부분은 정부 지원 없이 참가했다고 답했다. 팬데믹 이후 사실상 지역정부의 보조금이

[데스크칼럼] 전시장의 진홍빛 그림자, 환대와 경계의 미묘한 균형

어느덧 전시장 일각에서 중국어의 울림은 이채롭지 않게 됐다. 익숙해졌다기보다는, 더 이상 기이하게 느껴지지 않는다는 표현이 적절하겠다. 화려한 의장으로 치장된 부스, 현란한 LED 조명으로 장식된 제품들이 전시장의 핵심 영역을 점유하고 있다. 한국의 전시산업이 과연 자국 산업의 진흥 플랫

[기자수첩] 보이지 않는 산업을 위한 예산, 현장은 여전히 낯설다

정부는 올해 6천846억 원이라는 예산을 투입해 인력확보, 공정혁신, 디지털 전환, 생태계 조성 등 다방면에 걸친 실행계획을 내놓았다. 뿌리산업의 활력을 회복하겠다는 정부의 선언은 늦었지만 반갑다. 주조, 금형, 용접, 열처리, 소성가공 등으로 구성된 뿌리산업은 단순히 제조업의 하청 구조를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