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한일 경제협력 60년] 경공업에서 첨단소부장까지… ‘수평적 교역’으로 진화

무역 352배 성장… 중간재 중심 교역구조, 차세대산업 협력 확대로 이어져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은 올해, 양국의 산업 협력은 과거의 수직적 분업을 넘어 중간재 중심의 수평적 협력으로 재편되고 있다. 무역 규모만 봐도 1965년 2억 달러에서 2024년 772억 달러로 352배나 확대됐고, 교역 구조는 경공업 중심에서 반도체, 철강, 석유화학 등 첨단 중화학 산업의 중간재로 전환됐다. 이는 단순한 수치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협력의 질과 방향이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이다.

1980~90년대까지만 해도 한국은 일본에서 섬유, 화학기계 등을 수입해 의류 등 완제품을 생산·수출하는 전형적인 수직적 분업 구조에 있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중간재의 양방향 교역이 급격히 확대되며 이 구도는 변화했다. 산업 내 무역의 활발함을 나타내는 Grubel-Lloyd 지수는 1988년 0.25에서 2024년 0.42로 상승해 양국 간 상호 보완적 산업 구조가 더욱 뚜렷해졌음을 보여준다.

[한일 경제협력 60년] 경공업에서 첨단소부장까지… ‘수평적 교역’으로 진화 - 산업종합저널 동향

양국 기업들이 체감하는 변화도 명확하다. 한국무역협회가 대일 수출기업 234개사와 한국 내 일본기업 49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 기업의 47.4%, 일본 기업의 59.2%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공급망 협력'을 최우선 정책 과제로 꼽았다. 이는 양국 모두가 글로벌 공급망 리스크에 공동 대응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하다는 방증이다. 특히 2019년 일본의 수출규제를 기점으로 촉발된 소부장 자립 강화 움직임이 오히려 협력 수요를 증폭시킨 측면도 있다.

첨단산업 중심의 협력 기회 확대
한국무역협회(KITA, 회장 윤진식)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 한·일 기업협력의 현주소와 발전전략’ 보고서는 한일 간 협력 유망 분야로 모빌리티, 차세대 반도체, 바이오, 핵심광물·에너지를 꼽는다. 예컨대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MaaS(Mobility as a Service) 기술 컨소시엄을 구성해 한국의 교통 빅데이터 활용 기술과 일본의 교통사업 운영 경험을 융합하는 모델이 제시됐다. 반도체에서는 설계–제조–디자인솔루션파트너(DSP) 간 연계를 통해 공동 R&D 플랫폼을 구축하고, 바이오 분야에서는 상호인증협정(MRA)을 기반으로 한 전주기 협력 체계 구성이 제안됐다. 에너지·광물 분야는 제3국 공동개발을 통한 공급망 안정화 전략이 부각된다.

양국 간 직접투자도 활기를 띠고 있다. 한국의 대일 직접투자는 2018년 이후 5년 연속 10억 달러를 초과했고, 일본의 대한국 투자는 2024년 18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9.5% 급증했다. 이는 상호 신뢰 회복과 산업 협력의 시너지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한국 기업들이 온·오프라인 셀러-바이어 매칭 확대를, 일본 기업들은 세제지원과 투자환경 개선을 주요 요구사항으로 제시하고 있다.

[한일 경제협력 60년] 경공업에서 첨단소부장까지… ‘수평적 교역’으로 진화 - 산업종합저널 동향

한일 협력은 단순한 이익 공유를 넘어서야 한다. 보고서는 미래 첨단산업 전환기에 기술과 자원을 보완할 수 있는 양국의 파트너십이 장기적 생존전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디지털 전환, AI, 친환경, 바이오 산업 등은 국경을 초월한 기술 융합과 표준화가 필요한 분야로, 한일 간 협력이 경쟁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규제 장벽 완화, 투자 인센티브 확대, 기술 및 인적 교류 강화가 협력의 핵심 조건이라고 말한다. 단순한 무역 확대보다 중요한 것은, 신뢰 기반의 협력 생태계를 만드는 일이다. 이를 통해 양국은 글로벌 공급망의 변동성과 기술 패권 경쟁 속에서도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한일 무역 60년은 단지 과거를 돌아보는 시간이 아니라, 미래 협력의 방향을 모색하는 시점이다. 이제 양국은 소부장 기반의 수평적 산업 협력을 통해 새로운 성장 곡선을 함께 그릴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과 민간 기업의 전략적 연대는 더욱 긴밀하게 연결돼야 한다. 갈등과 협력을 반복해 온 한일 경제관계는 이제 공생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필요한 소비를 멈춘 '요노(YONO)' 트렌드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눈에 띄게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다. 바로 ‘요노(YONO, You Only Need One)’ 트렌드다. 이 트렌드는 말 그대로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의미로, 꼭 필요한 물건만 구매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현명한 소비 행태를 가리킨다. 경제 불안과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