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AI반도체·디지털 헬스케어가 이끈 첨단 소부장 투자…역대 최고치 경신

올해 8천501억 원 유치…오픈엣지테크, 600억 확보해 AI반도체 개발 박차

AI반도체·디지털 헬스케어가 이끈 첨단 소부장 투자…역대 최고치 경신 - 산업종합저널 부품

올해 첨단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 민간투자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AI반도체와 디지털 헬스케어가 투자 확대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소부장 투자연계형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총 8천501억 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보다 653억 원 늘어난 수치로, 기업당 평균 투자 금액도 46억5천만 원으로 전년 대비 10억2천만 원 증가했다.

투자 분야별로는 AI반도체가 24개 기업에서 2천602억 원을 유치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디지털 헬스케어(13개 기업 627억 원), 로봇·자동화 기계(12개 기업 441억 원), 차세대 전지(12개 기업 433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산업부는 정부의 첨단 소부장 산업 육성 정책이 민간투자 확대를 견인한 것으로 평가했다.

대표 사례로 AI반도체 기업 오픈엣지테크놀로지는 약 600억 원의 투자를 확보해 고속·저전력 메모리 기반 경량언어모델 전용 AI반도체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산업부는 이번 투자가 팹리스 산업 생태계 조성과 AI반도체 기술 자립, 글로벌 시장 진출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다른 사례로 전기차 소부장 기업 이티에스(ETS)는 전기차용 이차전지 제조공정 핵심 기술인 전해액 주입 장비를 국산화하며 약 170억 원의 투자를 유치했다. 해당 기술은 전기차 배터리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은 물론, 수입 대체와 수출 증대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나성화 산업공급망정책관은 “첨단 산업 분야 기술 자립과 민간투자 확대는 미래 산업경쟁력의 핵심”이라며 “정부도 민간의 혁신 노력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필요한 소비를 멈춘 '요노(YONO)' 트렌드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눈에 띄게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다. 바로 ‘요노(YONO, You Only Need One)’ 트렌드다. 이 트렌드는 말 그대로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의미로, 꼭 필요한 물건만 구매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현명한 소비 행태를 가리킨다. 경제 불안과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