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달 30일 산업연구원, 한국국제통상학회와 공동으로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지속가능한 기업·국가 성장 전략’을 주제로 ‘SGI 지속성장 포럼’을 개최했다. 본 포럼에서는 글로벌 통상질서 재편, AI 도입 확산, 기후기술 및 에너지 전환 등 국내외 환경 변화에 대한 기업과 국가 차원의 실질적 대응 전략을 모색했다.

이홍식 고려대 교수가 ‘트럼프 2.0시대의 생존 전략’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주재하고 있다.
포럼에는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 권남훈 산업연구원장, 허정 국제통상학회장, 이홍식 고려대 교수,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 박양수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 원장 등이 참석해 각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토론을 진행했다.
박일준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산업정책과 혁신·시장원칙의 조화가 필요하다"며 "국정기획위원회의 자료에서 언급된 ‘지원은 하되 간섭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반영한 묘수를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정 학회장은 “통상정책이 산업경쟁력을 설계하는 전략적 수단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으며, 권남훈 원장은 "AI와 같은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시점에서 산업정책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發 통상 충격…무역 다변화 및 공급망 안정화 논의
첫 번째 세션에서는 ‘트럼프 2.0시대의 생존 전략’을 주제로 한·미 관세협상, 글로벌 통상환경 및 공급망 변화에 대해 논의했다. 이홍식 고려대 교수는 “중국 의존도가 높아지며 이차전지, 반도체 등 전략산업에서 구조적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며, “공급망 안정화 및 핵심소재 내재화, 국내외 기업의 국내 투자 인센티브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토론자들은 한일 경제연대 강화, CPTPP 가입 등을 통해 무역시장을 확대하고, 공급망의 중국 의존도를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에 합의했다.
제조업 혁신을 위한 피지컬AI 도입
두 번째 세션에서는 ‘AI 도입과 산업경쟁력 강화’를 다뤘다.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는 피지컬AI(Physical AI)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 제조업, 물류, 건설 등 경쟁력을 가진 산업 분야에서 생산성 향상과 글로벌 경쟁력 유지를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피지컬AI는 로봇, 제어, 반도체, 센서, 통신 기술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므로 국가 차원의 전략적 투자가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세션에서는 AI 도입이 노동을 대체하는 효과보다는 자동화된 업무의 효율성 향상, 단위비용 감소, 동일 노동 대비 산출 증가를 목표로 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탄소중립을 성장 동력으로…에너지 전환 및 기후기술 혁신 필요
세 번째 세션에서는 ‘기후기술 및 에너지 전환 혁신’을 주제로 논의가 진행됐다. 윤제용 서울대 교수는 탄소중립을 위한 기후기술 개발과 저탄소 공정 전환이 국가의 신성장동력 확보와 연결된다고 강조하며 “신정부 초기부터 핵심 제도를 정교하게 설계하고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과 조정 전략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토론자들은 전력망 및 계통 인프라 확충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산업계 전력요금 부담 완화 및 기업의 에너지 전환 관련 재정지원 방안을 강조했다.

박일준 대한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왼쪽 여섯번째)과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종합토론에서는 복합위기 속 한국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산업정책 추진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박양수 SGI 원장은 RE100 산업단지 조성, 규제 혁신, 과감한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효과적인 지역경제 성장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재열 서울대 교수는 복합위기 극복을 위한 국가 성장 전략에서 노동, 재정 등 구조 개혁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정치적 리더십을 통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