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중견기업 3분기 경기전망지수 78.0… 전자부품 상승에도 제조업 부진

비제조업 소폭 상승, 내수전망지수 78.1로 회복 기대감 이어져

중견기업 3분기 경기전망지수 78.0… 전자부품 상승에도 제조업 부진 - 산업종합저널 동향

중견기업들의 3분기 경기 낙관론이 전자부품 업종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의 전반적 부진과 수출 감소세가 경기전망지수를 끌어내렸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가 1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 따르면, 중견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분기(80.7) 대비 2.7p 하락한 78.0으로 집계됐다. 이는 기업들이 경기 회복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제조업 경기전망지수는 5.7p 감소한 76.9를 기록했다. 전자부품 업종은 107.7로 27.8p 상승하며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지만, 자동차(70.7, 6.1p↓)와 기타 제조업(67.9, 32.1p↓)의 부진으로 전체 제조업 지수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반면 비제조업 경기전망지수는 79.2로 전분기(78.8) 대비 0.4p 상승했다. 특히 부동산(75.6, 11.9p↑)과 운수업(88.5, 10.5p↑)의 상승 폭이 돋보였다. 중견련은 이 같은 수치가 내수 회복 기대감을 반영한다고 설명했다.

수출전망지수는 제조업(92.7, 6.9p↓), 비제조업(90.6, 2.4p↓) 모두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91.9로 전분기(97.2) 대비 5.3p 감소했다. 제조업 내 전자부품(112.8, 17.8p↑)은 상승했지만, 식음료품(88.1, 36.1p↓), 자동차(76.2, 16.2p↓), 1차금속(89.0, 10.5p↓) 등 주요 업종이 두 자릿수 하락을 기록했다. 비제조업은 운수업(97.8, 21.6p↑)을 제외한 대부분 업종에서 부진을 면치 못했다.

내수전망지수는 78.1로 전분기 대비 1.4p 상승했다. 제조업(76.1, 0.4p↓)은 5분기 연속 하락했지만, 전자부품 업종이 30.5p 상승해 109.5로 6분기 만에 긍정 전망으로 전환됐다.

생산전망지수는 87.5로 전분기보다 2.8p 감소했다. 전자부품(119.2, 31.6p↑)이 크게 올랐으나, 기타 제조(85.2, 13.4p↓), 자동차(79.3, 11.8p↓), 식음료품(78.8, 4.1p↓) 등이 하락세를 보였다.

영업이익전망지수는 81.4로 1.7p 줄었다. 비제조업(84.4, 3.3p↑)은 상승했지만, 제조업은 78.3으로 6.9p 하락했다. 특히 기타 제조(72.4, 26.3p↓)와 자동차(64.0, 13.4p↓) 업종의 하락 폭이 컸다.

자금전망지수는 87.7로 전분기보다 1.5p 감소했다. 제조업은 87.5로 3.6p 하락했으며, 비제조업은 87.9로 0.5p 상승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정국 안정과 코스피 상승 등 긍정적 신호에도, 미국 상호관세, 중동 정세 불안, 수출 경쟁력 저하와 내수 부진으로 기업들의 경기 체감은 여전히 어둡다”며, “내수 부진(61.0%), 인건비 상승(44.4%), 업체 간 과당 경쟁(35.8%), 원자재 가격 상승(30.8%) 등 현장 애로 해소를 통해 중견기업의 투자와 고용 확대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정부, 국회와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