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7월 자동차산업 ‘트리플 증가’…전기차 내수·친환경차 판매비중 역대 최고

수출·내수·생산 모두 플러스…대미 관세 협상 타결로 불확실성 완화

7월 자동차산업 ‘트리플 증가’…전기차 내수·친환경차 판매비중 역대 최고 - 산업종합저널 동향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국내 자동차산업이 7월에 ‘트리플 증가’를 기록했다. 수출·내수·생산이 모두 늘었고, 전기차 내수판매량과 친환경차 판매 비중은 역대 최고치를 새로 쓰며 산업 전반의 전환 흐름을 드러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5년 7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7월 자동차 수출량은 21만2천 대(+5.8%), 내수판매량은 13만9천 대(+4.6%), 생산량은 31만6천 대(+8.7%)를 기록했다. 수출액은 58억3천만 달러(+8.8%)로 2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전기차 내수판매량은 2만6천 대(+69.4%)로 내수 판매 비중 18.5%를 차지하며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친환경차 흐름은 내수에서 더욱 뚜렷했다. 전체 내수판매량 13만9천 대 가운데 친환경차가 7만7천 대(55.3%)를 차지해 두 번째로 과반을 넘어섰다. 하이브리드차는 4만9천 대(+42.8%),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는 1만 대(+35.4%)로 큰 폭 증가했으며, 수소전기차도 신형 모델 출시 효과로 1만 대(+161.3%)가 판매됐다.

수출에서도 친환경차가 주도적 역할을 했다. 7월 친환경차 수출은 6만8천 대(+17.0%)로, 전기차는 지난 6월 반등 이후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며 2만 대(+12.3%)를 기록했다. 다만 전기차 수출액은 △4.1% 줄었는데, 보급형 차종 비중이 확대되면서 단가가 낮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하이브리드차(4만4천 대, +18.1%),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4천 대, +31.7%) 역시 수출 증가세를 견인했다.

지역별로는 EU(7억1천만 달러, +32.7%), 기타 유럽(6억3천만 달러, +78.7%)에서 수출이 큰 폭으로 늘었다. 스페인(+40.6%), 독일(+67.9%), 스웨덴(+215.0%), 영국(+15.2%), 튀르키예(+471.7%) 등에서 확대된 반면, 중동(3억8천만 달러, △13.8%)은 이스라엘-이란 전쟁 여파로 이스라엘 수출이 72.1% 감소했다.

국내 생산도 내수·수출 호조에 힘입어 31만6천 대(+8.7%)를 기록했다. 한국지엠은 지난해 임금협상으로 인한 생산 차질의 기저효과로 59.9% 증가했다.

한편 대미 자동차 및 부품 관세는 7월 30일 미국 현지 기준 15%로 협상이 타결됐다. 산업부는 “무역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며 “국내 자동차산업이 변화된 환경에 신속히 적응할 수 있도록 금융, 기술개발, 신시장 개척 등 맞춤형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