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산업톺아보기] "내가 잘려야 너는 일할 수 있다고?"

정년은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이 될 수 있을까…

나보다 나이 많은 이들은 늘 비켜줘야 했다. 지하철 좌석, 줄 선 곳, 직장에서의 자리까지 어디서든 나는 뒤로 밀렸다. 공경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이 관행은 직장에 들어와서는 다른 모습으로 나타났다. 젊은 세대는 고참의 빈자리를 기다렸고, 고참은 퇴직이 다가올 때까지 자리를 놓지 않으려 했다. 그러나 누구도 그들의 손을 탓하지 않았다. 문제는 ‘제때 빠지지 않는 늙은이’들이라며, 마치 정년이 되면 의무적으로 사라져야 할 ‘잔여물’처럼 취급됐다. 그 말이 무례하게 들렸다.

같은 팀 김 과장은 일흔을 바라보고 있었다. 정년이 다 되었지만 그는 스스로 계속 일하고 싶다고 했다. 계약직이라도 좋다고 했다. 능력을 더 쓰고 싶다는 말 앞에 누구도 대놓고 반박하지 못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속으로 수군거렸다. “그 자리에 후배가 들어가야 할 텐데.”, “나 때는 정년 되면 나갔어.” 웃으며 지내면서도 그의 자리를 탐냈다. 그가 떠나야 누군가가 올라설 수 있었고, 그 누군가가 ‘나’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산업톺아보기] "내가 잘려야 너는 일할 수 있다고?" - 산업종합저널 동향

나는 사실 그가 싫었다. 그가 퇴직해야 내가 부팀장으로 올라갈 기회가 오리라 기대했기 때문이다. 기회는 희소했다. 그가 남아 있는 한 내 기회는 자라지 않았다. 그러나 싫어해야 할 대상이 그가 맞는지 확신할 수 없었다. 그는 여전히 새로운 기술을 익히려 공부했고, 회의 자리에도 누구보다 많은 데이터를 준비했다. 우리는 능력이 있으면 남아도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실제로 남으면 곧바로 ‘이기적’이라며 비난한다.

결국 그가 회사를 떠났을 때 나는 승진했다. 바라던 일이었지만 마음은 이상했다. 내가 올라선 자리는 스스로 내려오고 싶지 않았던 누군가가 억지로 내려간 자리였다. 그는 섭섭한 기색 없이 내 손을 잡았다. “기회를 잘 써줘.” 나는 답하지 못했다. “과장님 덕분이에요.”라는 말이 목구멍에서 사라졌다.

그 일을 겪은 뒤 나는 더 조심스러워졌다. 언젠가 나도 후배에게 자리를 물려줘야 할 때가 온다. 그러나 내 생계를 위해 계속 일하고 싶다고 말하면 누군가는 속으로 비난하지 않을까. “꼰대 하나 또 자리 안 비우네.” 그 말이 두려웠다.

우리는 늘 문제를 양자택일로 만든다. 늙은 이의 생존과 젊은 이의 기회는 공존할 수 없다고 단정한다. 하지만 그것이 필연일까. 오래 일하고 싶은 이를 탓하기 전에, 왜 정년 이후 일할 자리는 그렇게 적은가를 먼저 물어야 한다. 자리를 넘기지 못하는 일이 죄처럼 여겨지는데, 그 자리를 새로 만드는 일은 왜 아무도 하지 않는가.

[산업톺아보기] "내가 잘려야 너는 일할 수 있다고?" - 산업종합저널 동향

언젠가 나도 뒤에서 밀려오는 후배의 숨결을 느낄 것이다. 그 차가움 속에서 깨닫게 되겠지. 누군가의 자리를 차지했던 내 젊은 날이 얼마나 위태롭고 잔인했는지, 누군가가 일하고 싶어 했던 열망이 얼마나 간절했는지를. 그래서 지금은 말하고 싶다. ‘내가 잘려야 네가 일할 수 있다’는 그 문장은 틀렸다. 너무 슬프고 게으른 결론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