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친환경 에너지 저장 창고 '슈퍼 커패시터' 출원 활발

일반 커패시터 대비 단위면적당 수십 배 더 많은 에너지 저장

친환경 에너지 저장 창고 '슈퍼 커패시터' 출원 활발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슈퍼커패시터는 전극과 전해질 계면으로의 단순한 이온 이동이나 표면화학반응에 의한 충전현상을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다. 풍력이나 태양광, 전기자동차 등에선 고속 충방전 및 반복적인 충방전에 대응하는 고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존 커패시터는 용량이 작다는 한계가 있고, 이차전지(리튬이온 배터리)는 고속 충방전이 어렵고, 반복적인 충방전으로 수명이 짧아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슈퍼커패시터는 일반 커패시터 대비 단위면적당 수십배 더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고, 리튬이온전지와 비교할 때 고속 충방전, 반영구적 수명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같은 특성때문에 슈퍼 커패시터는 미래 친환경 에너지 저장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전 세계 시장규모 또한 2017년 31억3천600만 달러에서 2023년 141억1천600만 달러까지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정부의 한국형 뉴딜 정책 발표, 미국 바이든 대통령 후보의 그린 뉴딜 공약 발표 등으로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친환경 에너지 산업의 핵심부품인 슈퍼 커패시터의 특허 출원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특허청은 슈퍼 커패시터 관련 특허출원은 2013년 이전에는 연평균 80건 이하에 불과했으나, 2014년을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해 최근 5년간(2014년~2018년) 연평균 122건의 출원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10년간 세부기술별 특허출원동향을 살펴보면 전극 관련 기술(548건, 56%), 모듈 및 케이스와 관련된 기술(229건, 23%), 전해 물질과 관련된 기술(116건, 12%) 순으로 조사됐다.

전극 관련으로는 전극 물질 및 제조방법, 전극구조 등에 관한 기술이 다수 출원됐다. 모듈 및 케이스 관련으로는 셀 밸런싱, 보호 회로, 온도제어, 신뢰성 향상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원인 유형을 살펴보면 국내기업(39%), 국내대학·연구소(36%), 외국기업(21%), 외국대학·연구소(3%) 순으로 조사됐다. 소재개발 및 특성 개선 등의 연구가 필요한 분야인 만큼 기업 뿐 아니라 대학, 연구소의 출원도 다수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허청 엄찬왕 전기통신기술심사국장은 “친환경 정책 및 이산화탄소 배출규제 관련 제품과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슈퍼 커패시터는 차세대 에너지 저장장치로 그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미래 산업의 핵심부품인 슈퍼 커패시터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계, 학계와 정부는 지속적인 협업과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한 시기”라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