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뉴스그래픽] 2023년 기계산업, 경기 침체 분위기 속 긍정적 요인 존재

미·중 무역갈등이 韓 기계산업에 가장 큰 영향

올해 한국의 기계산업 경기가 안정 또는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지만, 약간의 긍정적 요인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이 최근 발표한 ‘기계산업 2022년 성과와 2023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기계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112조 원, 수출과 수입은 소폭 감소해 각각 605억 달러와 558억 달러의 수준을 기록했다.

[뉴스그래픽] 2023년 기계산업, 경기 침체 분위기 속 긍정적 요인 존재 - 산업종합저널 기계

보고서는 금리인상과 고(高)인플레이션 등 글로벌 경기 침체가 기계산업 무역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라고 해석했다.

한국기계연구원 기계기술정책센터 관계자는 본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미·중 무역갈등, 원자재 가격 상승, 고인플레이션 등이 한국 기계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그 중 한국 경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미·중 무역갈등”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반한감정이 거세지면서 지난해 중국 시장 수출이 20~30% 가량 감소했다고 밝힌 그는 중국이 가장 큰 수출 시장인 만큼, 한국에 타격이 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다행히 그만큼 미국이 일부 보존해주면서 큰 영향이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미국의 규제가 지속될 것이기 때문에 미·중 무역갈등이 장기화하면 한국도 계속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기계산업별 실적에 대해 보고서는 공작기계와 플랜트, 반도체는 안정, 건설기계는 안정 및 호황, 디스플레이 장비는 침체였다고 판단했다.

특히, 공작기계의 경우 수주 누계액은 감소했지만, 중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수출이 증가해 안정세를 유지했고, 건설기계는 최근 10년간 가장 높은 수출액을 달성하기도 했다.

올해 업종별 전망에 대해 보고서는 공작기계, 플랜트, 건설기계는 ‘안정’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나, 반도체 장비와 디스플레이 장비는 ‘침체’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 이유로 공작기계는 수주액 감소에 따른 악화 요인이 있지만, 전방산업 기저효과에 따른 회복에 대한 기대가 공존하고 있으며, 플랜트는 유럽 내 LNG 수요 증가에 따른 LNG플랜트 투자 확대가 기회 요인으로 삼을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건설기계는 경기 하방 압력의 확대 속에도 분쟁 재건 수요 등이 기회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반도체 장비와 디스플레이 장비는 각각 TSMC,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의 투자 축소 예정과 중국 LCD 패널 업계의 투자 감소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기게연구원 관계자는 “투자가 계속 위축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고인플레이션 둔화 조짐과 금리인상의 한계점 도달로 인해 하반기부터는 기계산업에 대한 투자가 조금 회복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 개선이 이뤄지면 무역수지도 개선될 것”이라며 “현재 무역수지는 적자인 상태다. 투자 개선 및 수출 회복이 이뤄지면 무역수지 적자가 이어지더라도 그 폭은 줄어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9월 산업활동, 선행 및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흐름 상이

국내 전월대비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하락,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상승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대비 0.1p 하락했다. 순환변동치가 100 미만이면 추세보다

[뉴스그래픽] ‘직원경험’…기업 성장의 새로운 기준으로 떠올라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직원들이 회사에 기대하는 기준이 변화하면서 이에 대응하지 않으면 유능한 인재를 놓칠 수 있는 상황에 몰리고 있다. 이로 인해 직원경험(EX)을 높이는 것이 기업의 우선 순위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워크데이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이미라 한국타이어 ESG 위원장겸 사외이

[뉴스그래픽] 2023년 기계산업, 경기 침체 분위기 속 긍정적 요인 존재

올해 한국의 기계산업 경기가 안정 또는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지만, 약간의 긍정적 요인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이 최근 발표한 ‘기계산업 2022년 성과와 2023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기계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112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인공지능은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엔 두려움과 기대가 혼재돼 있다. 고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인공지능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두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직업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직무

[뉴스그래픽] 전경련, “‘이트모’ 확보위해 ‘한국형 국제감축모델’ 개발해야”

정부가 지난 21일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년) 정부안을 발표한 가운데, 국제 감축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파리협정’ 체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일본의 국제 감축 전략을 벤치마킹해 한국형 국제 감축 모델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