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노령연금 제도가 처음 설계됐을 때의 모습은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 당초 이 제도는 건강이 악화되거나 노동시장에서 조기 퇴출된 고령층이 생계의 마지막 끈을 붙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였다. 쉽게 말해, “노동을 더는 지속할 수 없는 이들이 가난을 견디는 마지막 수단”이었다. 그러나 2025년 현재 이 제도가 고소득층의 ‘현금화 수단’으로 기형적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은, 단지 제도의 기능이 조금 어긋났다는 수준의 이야기가 아니다. 연금의 본질을 흔드는 구조적 왜곡이고, 더 나아가 한국 사회의 복지정의가 어떻게 무너지고 있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조기노령연금 수급자의 총규모가 늘어난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흐름처럼 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그 안의 구성이 정반대로 뒤틀리고 있다는 데 있다. 소득 최상위 구간의 수급자는 최근 3년 새 600% 이상 급증했지만, 정작 제도의 원래 수혜 대상이었던 저소득층은 절반 이하로 감소했다. 이는 제도의 도입 취지를 거꾸로 돌려놓은 결과다. 연금이란 사회보장의 마지막 울타리다. 이를 통해 최소한의 소득 재분배를 실현하고, 누구나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도록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하지만 지금의 조기노령연금은, 스스로 노후설계를 할 수 있는 고소득층이 ‘당장 쓸 돈이 필요하다’는 이유만으로 연금을 땡겨받는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감액이 있다 해도 자산 여력이 충분한 이들에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면, 진짜 어려운 이들은 감액의 부담조차 감당하지 못해 연금 수령을 미룬다. 제도의 기능이 정반대의 방향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단기수급자들의 월평균 수령액이 장기수급자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는 지점은 이 문제를 더욱 구조적으로 보여준다. 조기노령연금의 핵심 철학은 ‘필요에 의한 조기수급’이다. 그런데 지금은 ‘최대한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점’에서 조기수령을 택하는 사람들이 대다수다. 수령 기간이 짧을수록 액수가 높다는 제도의 구조는, 이런 ‘전략적 선택’에 유리한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고, 결국 고소득층의 수익률만 높여주는 결과를 낳는다. 저소득층은 생계 때문에 조기수급을 하더라도, 감액된 연금액과 장기수령이라는 조건이 맞물려 지속적인 빈곤에 내몰릴 가능성이 높다. 이는 연금제도가 보장해야 할 ‘기본생활의 유지’라는 원칙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일이다.
연금은 보험이 아니라 복지의 기초다. 지금의 조기노령연금은 마치 재테크 수단처럼 굴러가고 있다. 현행 구조에선 이득을 보는 사람이 정해져 있고, 손해를 보는 이들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런데 국가가 이 불평등한 거래의 중개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 더 심각하다. 국민연금은 전체 노동자와 국민이 공동으로 부담하는 사회적 기여금이다. 이 기금을 가지고 고소득층의 자산 유동성을 돕는 방식으로 쓰이고 있다면, 이는 공공재의 사적 전용이며, 사실상 복지적 범죄라 해도 과하지 않다.
정부와 공단은 수급자 수의 증가나 평균 수령액의 상승을 단순히 통계상 ‘이용률 증가’로 해석하고 있지만, 문제의 본질은 수급자의 자격과 목적이 변질됐다는 데 있다. 제도 취지를 다시 되살릴 필요가 있다. 조기수급의 요건을 보다 엄격하게 하고, 수급의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는 소득 기준이나 건강 상태 검증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형식적 형평성을 앞세운 보편주의는 결과적 불평등을 더욱 고착시킬 뿐이다.
조기노령연금은 국가가 사회적 약자를 위해 남겨둔 마지막 한 장의 안전망이다. 지금 그 안전망이 조용히 찢기고 있다. 고소득층의 노후자금 설계를 돕는 장치가 되기 전에, 진짜 절실한 이들을 위한 보호장치로 제 역할을 되찾아야 한다. 숫자는 배신하지 않지만, 숫자 뒤에 숨겨진 진실은 쉽게 가려진다. 지금 그 가려진 진실을 들춰내야 할 때다. <칼럼니스트_창작노마드>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