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뉴스그래픽] '이전가격 조작' 다국적기업, 5년간 6352억 관세 포탈

전체 추징액의 58% 차지… "반복 위반 기업 제재 강화해야"

다국적기업들이 본사와 해외지사 간 거래 가격(이전가격)을 조작하는 방식으로 최근 5년간 6300억 원이 넘는 관세를 포탈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같은 기간 관세 당국이 적발한 전체 추징액의 절반을 훌쩍 넘는 규모다. 특수관계 거래를 이용한 다국적기업의 조직적인 세금 탈루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승래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관세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5년간 관세조사를 통한 총 추징액은 1조 898억 원(886개사)이었다. 이 가운데 다국적기업은 390개사로, 전체 추징액의 58.3%에 달하는 6352억 원을 추징당했다.
[뉴스그래픽] '이전가격 조작' 다국적기업, 5년간 6352억 관세 포탈 - 산업종합저널 동향

다국적기업의 연도별 추징액은 △2020년 1104억 원(71개사) △2021년 1991억 원(82개사) △2022년 828억 원(74개사) △2023년 1028억 원(82개사) △2024년 1401억 원(81개사)이다. 전체 추징액 대비 비중은 지난해(47.7%)를 제외하고 매년 50%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일회성 대형 조사를 제외하면 다국적기업의 탈루 비중은 훨씬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2021년과 2024년 국내기업 대상의 대규모 비정기 관세조사(각각 1192억 원, 1028억 원)가 있었다. 이 사례들을 제외할 경우, 다국적기업의 추징액 비중은 2021년 90.4%, 2024년 73.4%까지 치솟는다.

다국적기업 A사는 특수관계인 판매자가 부담해야 할 비용을 구매자가 대신 떠안는 방식으로 수입신고 가격을 낮췄다가 318억 원을 추징당했다. B사 역시 특수관계를 이용해 위스키 수입가격을 낮게 신고한 사실이 적발돼 270억 원을 추징당했다.
[뉴스그래픽] '이전가격 조작' 다국적기업, 5년간 6352억 관세 포탈 - 산업종합저널 동향

조승래 의원은 “다국적기업은 주로 본사와 해외지사 간 이전가격을 조작하거나 특수관계자 간 거래조건을 왜곡하는 방식으로 관세를 탈루하고 있다”라며 “관세청은 다국적기업의 특수관계자 거래 분석 역량을 강화하고, 반복적 위반 기업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