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부품

생성형 AI, 제조산업 서비스·제품 다양화 이끈다

AI 진화를 통해 전 산업 서비스와 제품이 다양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로봇과 AI가 활용돼 더 다양해진 자동화 기능들이 선보이고, 자원효율성 제고와 친환경, 재활용 제품 개발 및 관련 기술 투자로 이어져 지속가능성이 강조될 것이다 생성형 AI는 ML(Machine Learning)을 기

전자
김지운 기자
2024.02.11

구멍 숭숭 고체전해질로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전기차 시대가 도래하면서, 차량의 핵심 부품인 배터리 기술 개발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안전성은 중요한 이슈로, 전기차 배터리의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를 위해, 전기차 배터리의 전해질을 기존의 액체에서 더 안전한 고체로 바꾸는 전고체 배

전자
김지성 기자
2024.02.08

3kV급 산화갈륨 소재·소자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전력반도체로 불리는 산화갈륨(Ga2O3) 전력반도체의 핵심소재 및 소자 공정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산화갈륨은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매우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핵심 소재다. 일본과 미국이 기술적 우위에 있고 이번 기술 개발로 격차가 줄어들게 됐다.

전자
김지운 기자
2024.02.07

웨어러블 헬스케어 핵심 국제표준 제정

국내 연구진이 웨어러블 기기에서 건강관리를 위한 필수 기능인 걸음수와 심박수의 정확도를 시험할 수 있는 핵심 국제표준을 제정하면서 웨어러블 기기에서 측정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국제적 공통기준을 만들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건강관리용 웨어러블 기기 성능 시험'에 관한

전자
김지성 기자
2024.02.07

자율주행의 눈으로 불리는 인지센서 기술 협력 모색

한국자동차연구원(원장 나승식, 이하 한자연)은 18일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 스타트업 브랜치에서 자율주행 인지센서를 주제로 제5회 '자산어보' 행사를 개최했다. 자율주행 인지센서 산업 관련 완성차사, 중소·중견 부품기업 및 유관기관 관계자 13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서는 자율주행 인

전자
허은철 기자
2024.01.23

“세계 최대·최고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방안 발표

정부는 15일 반도체 인재 양성 현장에서 '민생을 살찌우는 반도체 산업'을 주제로 세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를 개최하고, 세계 최대·최고의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는 경기 평택·화성·용인·이천·안성·성남 판교·수원 등 경기 남부의

전자
박재영 기자
2024.01.15

무선 투명 올레드 TV, LG전자가 해냈다

LG전자가 세계 최초로 선보인 무선 투명 OLED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T'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 CES 2024에서 최고 제품으로 선정됐다. CES 2024의 공식 어워드 파트너인 엔가젯(Engadget)은 LG 시그니처 올레드 T를 TV 제품으로는 유일하게 최고상(The Best

전자
허은철 기자
2024.01.15

올해 수출, 반도체가 이끈다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장관은 우리나라 수출의 최대 주력품목인 반도체를 생산하는 SK 하이닉스 이천사업장을 방문해 업계의 애로를 청취하고 생산라인을 직접 확인했다. 취임 첫 행보로 자동차 수출 현장인 평택항을 찾은 데 이어 반도체 현장을 방문해 올해 수출 활성화를 위한 각오를 다졌다.

전자
김지성 기자
2024.01.12

이차전지 소재, 전기전자 핵심 부품 등 29개 품목 기술개발 신규 지원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 공급망 3050 전략'을 발표한 데 이어, 올해부터 공급망 안정화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먼저 공급망안정품목에 대한 연구개발(R&D)을 2023년 176억 원에서 올해 739억 원으로 대폭 확대한다. 공급망안정품목 전용 연구개발(R&D) 트랙을 통해 이차전지 소재, 전

부품
김지운 기자
2024.01.11

올해 글로벌 반도체 생산능력 월 3천만 장 넘어설 듯

지난해 글로벌 반도체 생산능력(200mm 웨이퍼 환산 기준)은 2022년 대비 5.5% 성장한 2천 960만 장으로 나타났다. 올해는 이보다 6.4% 더 성장해 3천만 장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전자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에는 반

전자
김아라 기자
2024.01.03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