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관리·자동화 분야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내장 스마트 배터리 모듈을 갖춘 ‘갤럭시 VS 3상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Galaxy VS 3-phase UPS)’의 확장버전을 공개했다. 이번에 출시한 갤럭시 VS 3상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는 전력범위를 10kW에서 100kW까지 확장 할 수 있어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는 29일 XENSIV™ 3D 자기 센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최신 3D 홀 기술을 적용한 TLI493D-W2BW는 초소형 웨이퍼 레벨 패키지(WLP)로 제공한다. 초소형 WLB-5 패키지(1.13mm x 0.93mm x 0.59mm)로 제공하는 자기 센서는 대기 상태에서 전류 소모가 7nA로 낮아서 저항 기반
정교한 손놀림으로 빠르고 오차 없이 핸드드립 커피를 만드는 모습을 최근 들어 자주 목격한다. 협동로봇의 글로벌 기업인 유니버설 로봇(Universal Robots)이 충청남도 태안에 위치한 아일랜드 리솜 오픈식에서 인아텍, MiR 등 다양한 로봇 솔루션과 연계하며 UR3를 활용한 로봇 바리스타를 선
'일회용 사회(throw-away society)' 탈피와 '순환경제(circular economy)'로의 전환에 일조하고 플라스틱의 지속가능성을 지속 개선하기 위해 열가소성 플라스틱 컴파운드 및 복합소재 생산에 재활용 원료 사용을 늘려가고 있다. 자원 소비에 의존도를 낮춘 성장을 지속하고 탄소발자국 감축, 환경 보호
국내 최초 항공용 고장력 볼트 국산화와, 널링 및 캡 압입 장치 원천기술 개발을 통한 차량 부품 경량화로 자동차, 항공 등 기간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금성볼트공업(주) 옥영두 연구소장은 2012년 국내 최초 고장력 항공용 고장력 볼트의 국산화 개발을 완료했다. 협소한 국내 항공볼트 시장에 대한
지멘스는 2일 ODB++™ 언어 지능형 단일 데이터 구조를 확장한다고 발표했다. PCB 설계를 디지털 스레드 전체에 대한 개방형 데이터 포맷의 통일된 전자제조 솔루션을 이용해 제조, 조립 및 테스트 부문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라고 지멘스 측은 설명했다. 지멘스에 따르면, ODB++의 전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로봇이 활용되는 분야가 넓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산업분야에 주로 활용돼 왔다면, 최근에는 청소 등 일상 분야까지 사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SK텔레콤은 공장 자동화 기업 한국오므론제어기기와 함께 코로나19 방역로봇을 개발해 방역활동에 활용하고 있다.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일렉트릭이 선박 및 조선 해양(Marine & Offshore)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21일 밝혔다. 선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배전, 설비 자동화,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선정하는 5월 엔지니어상에 ㈜대한건설이엔지 조현규 전무가 중소기업 수상자로 선정됐다. ‘터널형 방음시설’ 신기술을 적용한 고속도로 건설 등 국가 기간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조현규 전무는 29년 간 토목엔지니어링 분야에서 13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IoT(사물인터넷)에 대한 보안 위협 또한 고도화 및 다변화 돼가고 있다. 갈수록 기존의 전통적 보안 도구만으로는 탐지와 방어가 불가능한 알려지지 않은 신종 위협들이 늘어나고 있어 보안상 위협이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현재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종 악성코드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