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5월 반도체 수출 역대 최대…전체 수출 소폭 감소

바이오·선박·K-소비재는 증가세…석유제품·자동차는 관세·유가 영향으로 부진

5월 반도체 수출 역대 최대…전체 수출 소폭 감소 - 산업종합저널 동향

올해 5월, 한국의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3% 감소한 572억7천만 달러를 기록했다. 다만 반도체와 바이오, 선박, 농수산식품 등 일부 품목의 선전으로 수출 감소폭은 제한적이었으며, 무역수지는 69억4천만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13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4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5월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조업일 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6억6천만 달러로 1.0% 증가하며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수입은 △5.3% 감소한 503억3천만 달러로, 무역수지는 전년 동월 대비 20억5천만 달러 늘어난 흑자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반도체 수출이 138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21.2% 급증하며 5월 기준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고부가가치 제품인 HBM, DDR5 등 메모리 수요가 견조했고, 고정가격 상승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실제로 DDR5 16Gb 제품 가격은 5개월 연속 상승하며 4.80달러를 기록했다.

컴퓨터(SSD 포함)는 2.3% 증가한 11억 달러로 플러스로 전환됐으며, 무선통신기기 수출도 스마트폰 수요 호조로 4개월 연속 증가세(+3.9%)를 이어갔다.

바이오헬스(14억 달러, +4.5%), 선박(22억 달러, +4.3%) 수출도 각각 4개월, 3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바이오의약품 수출이 13.7% 증가해 전체 바이오 수출을 견인했다.

농수산식품(10억 달러, +5.5%)과 화장품(10억 달러, +9.3%)은 역대 5월 중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하며 K-소비재 수출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자동차·석유제품은 수출 둔화…미국 관세와 유가 하락 영향
반면, 자동차 수출은 62억 달러로 △4.4% 감소했다. 미국 관세 조치와 조지아 현지 공장 가동에 따른 완성차 수출 감소가 주요 원인이며, 대미 수출은 두 달 연속 감소했다. 다만 EU 향 전기차와 중고차 수출은 각각 +8.5%, +71.0%로 증가해 수출 총액은 4개월 연속 60억 달러 이상을 유지했다.

석유제품과 석유화학 수출은 각각 △20.9%, △20.8% 감소한 36억 달러, 32억 달러로 집계됐다. 두바이유 기준 국제유가는 63.7달러까지 하락해 전년 대비 △24.2% 하락했고, 석유 관련 수출가격도 평균 18% 이상 낮아졌다.

지역별로는 9대 주요 시장 중 중국(△8.4%), 미국(△8.1%)을 포함한 7개 지역에서 수출이 줄었다. 미국의 자동차 수입 감소, 중국의 반도체·석유화학 수입 둔화가 영향을 미쳤다. 반면, 대EU(+4.0%)는 반도체·자동차 호조에 힘입어 3개월 연속 증가했고, 대CIS 수출도 +34.7% 급증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대만 수출은 +49.6%로 급증해 5월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무역수지는 69억4천만 달러 흑자로, 전년 동월 대비 20억 달러 이상 증가했다. 1~5월 누적 무역수지는 총 190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2023년 상반기 적자 상황에서 뚜렷한 반전을 이어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안덕근 장관은 “미국의 관세조치와 국제유가 하락이 수출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다만 반도체·선박·K-소비재 등의 선전으로 수출 감소폭은 제한적이었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향후 대응책으로 관세대응 무역보험(1천500억 원), 바우처(847억 원) 등 추경 예산을 신속 집행하고, 미국 측과의 협의를 통해 상호 호혜적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8월 수출 부진 지속

8월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와 국제 정세 불안정의 여파로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주요 수출국인 미국, 이탈리아, 튀르키예 등의 시장에서 하락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공작기계 수출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세 8월 공작기계 수주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공작기계 생산·수출 동반 위축…1월 실적 급락

1월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와 설 연휴에 따른 조업일수 단축으로 전반적인 실적이 부진했다. 생산과 수출 모두 큰 폭으로 줄었고, 내수도 위축된 흐름을 보였다. 다만 수주는 일부 업종을 중심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며 낙폭을 일부 만회했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에 따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