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D News

[카드뉴스] 韓, 탈원전 기조 변화하나 ‘SMR 주목’

지난 5월 21일(현지시각) 미국 워싱턴에서 한미정상회담이 개최된 이후 두산중공업, 현대건설 등을 비롯한 국내 원자력발전소 관련 7개 주요 기업의 주가가 빠르게 상승했습니다. 그 이유는 한·미 양국이 해외 원전 사업 공동 진출에 합의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이번 합의를 두고, 일각에서는

에너지
김지운 기자
2021.06.09

[카드뉴스] 전기차와 수소전기차...친환경 시대를 주도할 자동차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Carbon Neutral)을 위해 테슬라, 현대 등 세계적인 자동차 기업들은 내연기관차 판매를 줄이고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친환경 운송수단으로 주목받는 자동차가 있는데요. 바로 전기차(Electric

동향
문근영 기자
2021.06.02

[카드뉴스] 산재 사망사고 잇따라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는 이제 그만

이달 8일,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40대 하청업체 노동자가 작업 중 추락한데 이어, 이달 14일 밤에는 쌍용C&E 시멘트 공장에서 작업하던 60대 하청업체 노동자가 추락 후 사망했습니다. 잇따른 하청업체 노동자의 사망사건의 원인이 발판을 제대로 고정하지 않거나 고도가 높은 건물의 안전장치

동향
김지운 기자
2021.05.26

[카드뉴스] 확장현실 XR, 가상융합경제로의 초석

전 세계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맞이했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제조·의료 등 주요산업 분야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엔 현실과 가상 세계를 연결하는 가상융합기술(확장현실, eXtended Reality, XR)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습니다. XR은 비

동향
안호진 기자
2021.05.19

[카드뉴스] 인간의 뇌를 닮은 반도체, NPU 전쟁의 서막이 열렸다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분야가 빠른 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최근 미래 기술의 핵심 부품으로 각광받는 반도체가 있습니다. 바로 ‘NPU[Neural Processing Unit]’인데요, 기존의 반도체 구조와 달리 사람의 뇌 신경망에서 착안해 뉴런과 시냅스 구조로 설계한 반도체를 말합니다. 인공지능 딥러닝에 최

동향
문근영 기자
2021.05.12

[카드뉴스] 자산관리 관심 증가···디지털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필요

코로나19 이후 금융 분야에도 기존 고객 유지 및 신규 고객 확보를 위해 자산관리 서비스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최근 발표한 ‘2021년 자산관리시장 트렌드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으로 안전자산 선호 및 분산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자산관리

동향
안호진 기자
2021.04.28

[카드뉴스] “한국, 인공지능 기반 공공정책 수립 필요”

4차 산업혁명이 진행되면서 선진국들은 인공지능을 공공정책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 역시 공공부문에 특화된 인공지능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중소기업연구원이 발표한 ‘선진국 AI 공공정책 활용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영국을 포함한 선진국은 인공

동향
문근영 기자
2021.04.21

[카드뉴스] 은행 산업의 변화...인공지능(AI) 분석 및 활용 역량 강화 필요

인공지능(AI)의 발전으로 산업 전반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에 은행도 고객들에게 자동화·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인공지능 분석 및 활용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AI 기반 분석 및 활용 역량 제고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은

동향
안호진 기자
2021.04.14

[카드뉴스] 지난해 해외건설산업 마이너스 성장…한국은 ‘플러스’

코로나19가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해외건설산업도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유가 약세, 경제 봉쇄 조치 등으로 지난해 해외건설시장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반면, 한국의 해외건설 수주액은 플러스 성장을 보였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의 ‘2020년 하반기 해외건설산업

동향
안호진 기자
2021.04.07

[카드뉴스] 딥페이크 악용 사례 증가..디지털 범죄 대비 법안 필요

인공지능(AI)의 발달로 딥페이크(Deep fake) 기술을 활용한 콘텐츠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딥러닝(Deep learning)과 가짜(Fake)의 합성어로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이미지 합성 기술을 말하는 딥페이크는 최근 디지털 범죄에 사용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서 발표한 ‘

동향
문근영 기자
2021.03.31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