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에너지

50년 넘게 의존한 SF6 가스, 친환경 개폐장치로탈출

대기오염의 주범인 SF6(육불화황)를 대체하는 친환경 가스 및 72.5kV 31.5kA급 개폐장치 설계기술이 국내최초로 개발됐다.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신전력기기연구센터 송기동·오연호 박사팀이 개폐장치의 제작과 시험에는 국내 전력기기 업체인 선도전기가 담당했다. 그동안 전 세계적으로 S

전기
김지성 기자
2021.02.18

[기술기고] '에너지 효율 향상' 정책 흐름에 따라 운영 효율성 달성하는 방법

금속이나 시멘트, 플라스틱 같은 공학 재료를 생산하는 데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다. 산업혁명 이전에는 천연자원이 노동력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녔고, 이를 통해 제품이 업그레이드 됐다(Allwood et al. 2011). 그러나, 오늘날 노동과 천연자원의 상대적 가치는 반전됐으며, 에너지 사

에너지
산업종합저널
2021.02.18

급속충전에도 배터리 성능·안전성 보장 음극 촉매 소재 개발

급속충전 중이라도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획기적인 ‘음극용 촉매 소재 및 코팅 기술’이 개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산하 전기전문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기연구원(이하 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이상민 센터장과 경희대 박민식 교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

전기
김지성 기자
2021.02.03

전 세계 페리 산업 연간 20억 명 넘는 승객 수송 탄소발자국 저감 압박

전 세계 페리 산업은 연간 20억 명이 넘는 승객을 수송하며 탄소발자국 저감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다. 페리 해운 협회 인터페리(Interferry)에 따르면, 국제해사기구(IMO)는 2050년까지 연간 배기가스를 2008년 대비 최소 50퍼센트 감축 목표를 발표했다. 신규 여객선은 환경친화적 선박의 개

에너지
박재영 기자
2021.02.01

[카드뉴스] 전기차 시장, 협업으로 가속페달 밟는다

최근 현대자동차와 애플이 협업체계를 구축할 것이라는 보도가 이어지면서 향후 자동차 시장의 변화에 대한 지형도가 전혀 새로운 형태로 그려질 것이라는 전망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세계 전기차 판매는 월간 40만 대를 상회하고 있는데다가, 부진했던 미국 시장 회복이 기대되고, 여타 시장들

에너지
윤성준 기자
2021.01.22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증착용 금속마스크 제조장치

TV나 스마트폰, 노트북의 화질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이 한창이다. 고화질 기능은 소비자들로부터 각광받는 주요 기술 중 하나다. 고화질 구현을 위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활용한 스마트폰이 출시됐고, OLED 디스플레이 생산에 반드시 필요한 것이 유기발광다이오드 증착용 금속마스크 장치다.

전기
안호진 기자
2021.01.05

日, 2050년 탈탄소 위해 '그린 성장전략' 발표

일본이 2050년 탈탄소사회를 만들기 위해 '그린 성장전략'을 내세웠다. 한국무역협회(이하 KITA)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인 '일본 정부, 2050년 탈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그린 성장전략’ 발표'에 따르면, 일본은 해상풍력, 수소 등 14개의 중점 분야를 설정해 중장기 목표와 지원책을 제시했다.

에너지
안호진 기자
2020.12.31

배터리와 미래차 산업, 석유→전기 기반 에너지 전환

코로나19 확진자가 줄어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석유국가와 전기국가의 에너지 지정학적 대결 구도에서 코로나19와 탄소중립목표 선언 등 친환경 전기 에너지로 전환이 가속화하고 있다. 경기도는 배터리와 미래차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는 배터리

에너지
김지성 기자
2020.12.14

[카드뉴스] 바이든의 시대 맞이하는 미국, 전기차 시장 신흥강호로 우뚝 선다

미국 대선이 민주당 바이든(Biden) 당선인의 승리로 막을 내림에 따라 지난 트럼프 정권에서 진행됐던 정책의 상당수가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가장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은 환경 정책으로 전망되는데요. 이로 인해 미국이 그동안 상대적으로 더딘 발걸음을 보였던 전

전기
윤성준 기자
2020.12.11

친환경 에너지 저장 창고 '슈퍼 커패시터' 출원 활발

슈퍼커패시터는 전극과 전해질 계면으로의 단순한 이온 이동이나 표면화학반응에 의한 충전현상을 이용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다. 풍력이나 태양광, 전기자동차 등에선 고속 충방전 및 반복적인 충방전에 대응하는 고용량 에너지 저장장치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기존 커패시터는 용량이 작다는

에너지
김지성 기자
2020.12.05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