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에너지

[산업지식퀴즈]전기를 생산하는 기계는?

[사례1] LED 조명가게를 하는 A씨는 가게를 찾는 손님이 부쩍 줄어 직접 LED조명을 조그마한 트럭에 싣고 근처 아파트 일대를 찾아가기로 합니다. 어디보다도 밝은 LED조명임을 홍보하기 위해서는 조명을 켜야겠지요? 이때 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사례2] 요리를 좋아하는 B군은 내 가게를 오픈

전기
안호진 기자
2020.12.04

[포토뉴스] 가로등과 결합한 전기차 충전기

기존 가로등 및 노상주차장을 활용한 전기차 충전소가 양천구에 설치됐다. 양천구청은 1일 양천문화회관 앞 주차장에 ‘가로등 활용 충전시스템’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가로등 충전기는 부지확보 문제 해결 및 주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구청 측의 설명이다. 양천구청 관계자는 본지와

전기
박재영 기자
2020.12.02

국내 최초 케이블 추천 앱 커넥트LS(ConnectLS) 개발

국내 기업이 케이블 추천 앱, 커넥트LS(ConnectLS)를 개발했다. 사용자가 환경에 따라 가장 적합한 케이블을 간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기획됐다. 2일 LS전선에 따르면, 케이블 사양서를 보면서 여러 조건들을 고려, 허용전류를 계산하는 복잡한 과정이 몇 번의 터치만으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다

전기
윤성준 기자
2020.06.02

세계 최초 100% 전기 트럭 기중기 등장

100% 전기 구동 트럭 기중기가 첫 선을 보였다. Zoomlion Heavy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Co., Ltd.(Zoomlion)는 중국 창사에 위치한 Quantang 산업단지 내 생산라인에서 자체적으로 개발 및 생산한 세계 최초의 100% 전기 구동 트럭 기중기 'ZTC250N-EV'를 출시했다고 25일 발표했다. Zo

전기
김지성 기자
2020.05.25

LS전선 태양광 전용 케이블, 글로벌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 받아

LS전선이 개발한 태양광 전용 케이블이 독일 TUV SUD로부터 국제표준규격 인증을 받았다. TUV는 LS전선의 DC(직류) 1500V급 태양광 케이블이 IEC(국제전기표준회의)와 EN(유럽표준)의 기능과 안전 기준 등에 부합한다고 평가했다고 25일 밝혔다. LS전선은 이번 인증이 국내 시장은 물론,

에너지
윤성준 기자
2020.05.25

유통물류분야 수소트럭으로 전환, 화물운송 시범 투입

내년부터 수소화물차를 시범적으로 택배와 화물운송에 투입된다.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국토교통부는 충북 옥천군에 위치한 CJ허브터미널에서 현대자동차, CJ대한통운, 현대글로비스, 쿠팡과 ‘수소 화물차 보급 시범사업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지난 14

에너지
박재영 기자
2020.05.21

선박·조선해양 위한 에너지 관리·자동화 통합 솔루션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일렉트릭이 선박 및 조선 해양(Marine & Offshore)의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통합 에너지 관리 솔루션을 제공한다고 21일 밝혔다. 선박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배전, 설비 자동화,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해

FA
윤성준 기자
2020.05.21

[카드뉴스] 전기차 업계, 코로나19 이후에 다시 가속페달 밟는다

코로나19(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자동차산업계 전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미국을 중심으로 내연기관 자동차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전기차 시장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은 비상 상황에 발생하는 일시적 요인이고 전기차의 성장속도를 소폭

동향
박재영 기자
2020.05.21

정부, 수소경제 이끌 삼두마차 선정 착수

정부는 LNG 등에서 수소를 추출‧생산하는 설비를 포함한 공급시설인 수소추출시설 중 소규모 수소추출시설은 부산광역시, 대전광역시, 강원도 춘천시 총 3개 지역을 선정했다. 중규모 수소추출시설은 광주광역시, 경남도 창원시 총 2개 지역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수소추출시설 구

에너지
박재영 기자
2020.05.19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심, 에너지전환 추진

산업통상자원부는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 열린 제20차 에너지위원회에서 17개 광역지자체의 지역에너지계획 수립결과를 확정하고 향후계획을 논의했다. 지역에너지계획은 에너지법에 따라 에너지기본계획의 효율적인 달성과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광역지자체가 매 5년마다 5년 이상을 계획기간으로 수립

동향
박재영 기자
2020.05.13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