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전고체 이차전지용 초박막 고체전해질막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인 전고체 이차전지용 초박막 고체전해질막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에너지 소재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스몰(Small)’ 표지 논문으로 게재되며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ETRI 연구진은 섬유화 바인더 소재를 활용해 용매 없이 고체전해질

전자
조준상 기자
2025.01.16

합성가스를 에탄올로 바꾸는 ‘대사전환’ 핵심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합성가스를 바이오연료로 전환하는 핵심 기술을 완성했다. 이는 합성가스 발효 과정에서 에탄올을 단일 산물로 생산하도록 미생물의 대사 경로를 전환한 결과다. 이를 통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며 상업화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 한국연구재단은 광주과학기술원 장인섭 교수와 고려

에너지
조준상 기자
2025.01.15

전기차 난방과 산업 혁신의 새 길, 금속섬유천 발열체

한국전기연구원(KERI) 이동윤 박사팀이 ‘금속섬유천 면상 발열체’ 기술을 개발하며, 겨울철 전기차의 난방 문제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발열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새로운 해법을 제시했다. 이 기술은 전기차 주행거리 감소 문제를 해결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전력 소모를 줄이는 동시

전기
조준상 기자
2025.01.14

ETRI, 데이터 주권 강화 위한 차세대 보안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인 데이터 주권을 강화하고 양자컴퓨터 시대를 대비한 보안기술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정보 보안과 데이터 거래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전망이다. ETRI는 ‘트러스트 데이터 커넥톰’ 기술을 통해 기존 기업 중심의 데이터 관리 방식에서

전자
조준상 기자
2025.01.09

생물소재 기술로 글로벌 시장 개척…㈜한국화장품제조 박창민 부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5년 1월 수상자로 현대모비스㈜ 이기양 책임연구원과 ㈜한국화장품제조 박창민 부장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에서 기술혁신을 주도한 엔지니어를 우대하고, 기술자를 격려하는 문화를 확산하기

소재
조준상 기자
2025.01.07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현대모비스 이기양 연구원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로 현대모비스㈜ 이기양 책임연구원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 상은 산업현장의 기술 혁신을 독려하고 기술자들의 역할을 조명하기 위해 매달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 엔지니어 각 1명을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소재
조준상 기자
2025.01.07

수학적 모델링으로 줄기세포 행동 원격 제어 기술 개발

고려대학교 강희민 교수 연구팀이 외부 자기장과 수학적 모델링을 결합해 줄기세포 행동을 원격으로 조절하는 기술을 발표했다. 이 기술은 조직 재생과 맞춤형 치료의 혁신적 돌파구로 평가받고 있다. 조직 재생에서 ECM의 역할 세포외기질(ECM)은 세포 활동을 조율하고 조직 복구를 지원하는 복

동향
조준상 기자
2025.01.03

수학적 모델링으로 줄기세포 행동 원격 제어 기술 개발

고려대학교 강희민 교수 연구팀이 외부 자기장과 수학적 모델링을 결합해 줄기세포 행동을 원격으로 조절하는 기술을 발표했다. 이 기술은 조직 재생과 맞춤형 치료의 혁신적 돌파구로 평가받고 있다. 조직 재생에서 ECM의 역할 세포외기질(ECM)은 세포 활동을 조율하고 조직 복구를 지원하는 복

동향
조준상 기자
2024.12.30

양자컴퓨팅 대중화 위한 큐그라운드 서비스 시작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양자컴퓨팅 기술의 대중화를 목표로 한 시범 서비스 ‘큐그라운드(Qground)’를 선보이며, 국내 양자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실증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했다. ETRI는 자체 개발한 고성능 양자컴퓨팅 에뮬레이터 ‘큐플레이어(QPlayer)’를 기반으로, 연구원 내부

전자
조준상 기자
2024.12.27

땅속 꿰뚫어 보는 '다중 엑스선' 기술 개발… 지뢰 탐지·유해 발굴 활용 기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땅속에 묻힌 물체의 형상과 종류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했다. 다중 디지털 엑스선을 이용해 지뢰, 폭발물, 유해 등을 탐지하는 이 기술은 기존 지면투과레이더(GPR)의 단점을 극복하고 고해상도 이미지를 제공해 국방, 안전, 범죄 수사 등 다양한

전자
조준상 기자
2024.12.26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