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

AI 기반 정책지능으로 공공의사결정 돕는다

국내 연구진이 해외 연구진과 국내·외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집행 의사결정 지원 등 공공의 의사결정에 꼭 필요한 도움을 줄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정책지능 연구를 본격 추진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1일 글로벌 연구기관인 오스트리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IIASA)와 공

전기
조준상 기자
2024.07.04

화웨이 양차오빈 사장, 네트워크용 AI로 생산성 향상 강조

화웨이의 이사회 멤버이자 ICT 제품 및 솔루션 부문 사장인 양차오빈(Yang Chaobin)은 MWC 상하이 2024에서 AI 기술, 특히 생성형 AI가 통신 네트워크에 새로운 기회와 요구 사항을 어떻게 가져다주는지에 대해 논의했다. 양차오빈 사장은 '네트워크를 위한 AI: 생산성 강화'라는 제목의 연설에

동향
김지성 기자
2024.07.01

한국 로봇산업진흥원, 이동식 협동로봇 간담회 개최

한국 로봇산업진흥원, 이동식 협동로봇 간담회 개최 한국 로봇산업진흥원(원장 손웅희, 이하 진흥원)은 지난달 28일 양재 엘타워에서 '이동식 협동로봇 규제 개선 및 국가 표준 제정안 기업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해 3월에 관계 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첨

로봇
조준상 기자
2024.07.01

‘로봇은 명확한 미래’, AI 로봇 생태계 성장 가속도

LG전자가 구글의 차세대 AI 거대언어모델(LLM) ‘제미나이’를 탑재한 ‘LG 클로이’ 로봇을 첫 공개했다. LG전자는 27일 서울 장충동 소재 신라호텔에서 열린는 ‘구글 클라우드 서밋 서울 2024’에서 제미나이를 탑재한 ‘클로이 로봇’을 공개하고 ▲고객의 질문에 자연스럽게 답변하는 AI 챗

로봇
조준상 기자
2024.06.27

정부, 지능형 로봇 백만 대 보급 목표 차질 없이 추진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강경성 1차관 주재로 제2차 첨단 로봇 경제 전담반(TF)을 개최하고, 로봇산업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가 로봇 테스트 필드 실행계획 등 4개 안건에 대한 후속 조치를 보고하고, 첨단 로봇 보급 확산 방안과 지능형 로봇법 전면 개정안을 논의했다. 정부

로봇
조준상 기자
2024.06.27

한국 로봇산업진흥원, 2024 로봇 미래전략 컨퍼런스 개최

한국 로봇산업진흥원이 로보틱스 4.0 시대를 맞아 로봇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2024 로봇 미래전략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6월 26일 코엑스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컨퍼런스는 올해로 5회째를 맞이했으며, K-로봇이 세계 시장을 제패하기 위한 방향성을 점검하는

로봇
조준상 기자
2024.06.27

ETRI, AI와 함께 나아가는 미래 제시

정보통신기술(ICT) 관련 국내 최고의 연구진들이 최근 ICT 분야의 가장 이슈인 ‘인공지능(AI)’기술과 관련, 그동안 개발한 연구성과와 미래기술을 국민에게 공개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서울 강남구 역삼동 과학기술컨벤션센터에서 26일부터 이틀간 'ETRI 컨퍼런스

전자
박재영 기자
2024.06.25

직장인 열에 여섯, 생성형AI 이미 활용 중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세대’를 조명한 의미있는 보고서가 나왔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젊은 'AI 세대'와 개발도상국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생성형 AI 혁명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이 올해 2월부터 3월까지 호주, 중국, 인도

로봇
김아라 기자
2024.06.20

공공장소 안전 지키는 AI 순찰 로봇 '패트로버'

도구공간이 제작한 AI 순찰 로봇 '패트로버'가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평화의 문 광장에 본격 투입됐다. 평일 오전 10시와 오후 2시, 하루 두 번씩 운영되는 패트로버는 거대한 평화의 문 광장을 지나 호수를 둘러싼 산책로를 주행한다. 주행 중 사람을 만나면 알아서 속도를 줄이고, 장애

로봇
김지운 기자
2024.06.20

비즈니스·지역사회 발전 핵심기술 'AI(인공지능)'

글로벌 IT 기업 HP가 인공지능(AI)에 대한 글로벌 리더들의 인식을 조사한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글로벌 리더들은 AI를 포함한 신기술을 조직의 주요 영향력 목표 달성의 핵심 요소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글로벌 금융 컨설팅 업체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와

동향
김아라 기자
2024.06.14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