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KERI) 전동력연구센터가 자석의 힘을 이용해 동력을 전달하는 ‘비접촉 마그네틱 기어’를 활용, 50kW급 상반회전 프로펠러 전기추진기를 개발했다. 상용화 시 수상택시와 같은 해상 모빌리티 분야에 혁신을 불러올 기술로 주목된다. KERI 홍도관 박사팀은 기존 기계식 기어 방식
정부가 제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추진 중인 ‘AI 자율제조’ 사업을 ‘AI 팩토리’로 전면 개편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AI 기반 제조공정 혁신 수요가 예상보다 높게 나타나자 지원 대상과 방식을 확대하고, 실증 적용 분야도 다각화할 방침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올해 AI 제조 사업 수요 조사
LG전자가 해양 생물 성장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유리 소재 ‘마린 글라스’를 앞세워 B2B 신소재 사업을 확장한다. 최근 서울대학교 블루카본사업단과의 협약을 통해 해양 생태계 복원 실증 사업에 나선다. LG전자는 26일 서울대 블루카본사업단과 ‘블루카본 산업 활성화를 위한 기술 교류’ 협
글로벌 자동차 시장이 회복 국면에 진입했다. 중국 내수 시장 확대가 2025년 1분기 성장률 반등을 이끌었고, 둔화됐던 전기차(BEV) 시장도 회복 조짐을 보였다. 다만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시장 둔화는 향후 불확실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고 권위의 로봇 학회인 ICRA 2025에서 열린 ‘Goose 2D 의미론적 분할 챌린지(Goose 2D Semantic Segmentation Challenge)’에서 2위를 차지하며 국내 인공지능 기반 영상 인식 기술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챌린지는 산림, 들판, 건설 현장 등 비정형 야외 지형
정부가 상반기 재생에너지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을 공고하며 풍력·태양광 보급 확대에 나섰다. 입찰에서는 공공주도형 해상풍력 방식이 처음 도입됐으며, RE100 수요기업을 위한 전력구매계약(PPA) 제도도 보완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를 통해 2025년 상반
고양컨벤션뷰로는 지난 20일부터 22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2025 IMEX 프랑크푸르트’에 참가해 고양시의 MICE 산업 역량과 개최지로서의 경쟁력을 소개했다고 밝혔다. IMEX 프랑크푸르트는 전 세계 MICE 업계가 참여하는 유럽 최대 규모의 MICE 전문 전시회로, 2024년 기준 2천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23일 서울 엘타워에서 ‘2025년 제1회 신기술(NET) 및 신제품(NEP) 인증서 수여식’을 열고, 혁신성이 입증된 17개 기술과 7개 제품에 인증서를 전달했다. 신기술(NET, New Excellent Technology) 인증은 국내 최초 개발됐거나 기존 기술을 개선한 우수 기술에
KOTRA와 항공안전기술원은 지난 19일부터 22일까지 미국 휴스턴에서 열린 세계 최대 무인이동체 전시회 ‘엑스포넨셜(Xponential) 2025’에 한국관을 마련하고, 드론기업 수출상담회 및 기술 홍보 활동을 전개했다. 이 사업은 국토교통부의 ‘드론기업 해외진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엑스포
제1회 산업AI EXPO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기업설명회가 지난 2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렸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산업지능화협회, 산업기술진흥원, 산업기술시험원 등 유관기관이 공동 주관한 이번 설명회에는 산업계, 연구기관, 공공기관, 스타트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산업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