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에너지

[현장적용사례] 두바이 빌딩, 펌프시스템 교체 최대 80% 에너지 절감 효과

때로는 소유한 건물을 고치는 일과 정부의 빌딩 에너지 효율성 개선 목표 사이의 괴리감을 가장 간단하고 확실하게 보여주는 것이 입주민의 불만일 수도 있다. 두바이 정부는 2030년까지 빌딩 3만 개를 리모델링해 도시의 에너지 수요를 30%까지 절감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아랍에미리트의 에너

에너지
산업종합저널
2022.02.09

에너지 전환시대, 예비력 제도 개선으로 변동성 대응해야

재생에너지 활용을 높이는 정부의 에너지 전환 기조에 따라 전력계통 운영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의 특성상 출력 변동성이 크고 이에 따라 전력생산량 변수와 수요 변동성 등이 맞물리는 상황이다. 지난 7일 (사)에너지전환포럼이 온라인으로 주최한 ‘에너지전환시대의 적정예비력

에너지
김아라 기자
2022.02.08

액화수소 생산 설비 왜 구축해야 하나

탄소중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화석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대체 에너지를 사용해야 한다. 대체 에너지 중 수소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액화수소 생산 설비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KDB미래전략연구소의 ‘수소경제 활성화에 따른 액화수소 필요성 증대’ 보

에너지
최 준 기자
2022.02.04

탄소중립 달성 위한 기반, ‘수소 에너지’

미래 에너지 산업 육성에 힘을 싣기 위해 산학연 관계자들이 모여 에너지 기술개발 관련 정보를 교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하 에기평)은 26일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탄소중립 미래를 여는 E-Tech 컨퍼런스’를 개최해 2022년

에너지
권신혁 기자
2022.01.27

한·일의 ‘新재생에너지’ 산업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

지난해 정부는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 설비를 4년 내에 2배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러한 정책 추진 시 한국 산업구조가 비슷한 일본과 균등화발전원가(LOCE)를 비교해 정책 방향을 수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균등화발전원가(Levelized Costs of

에너지
최 준 기자
2022.01.20

산업·금융·도시 녹색전환, 수상태양광·폐자원 에너지 등 환경분야 탄소↓

산업·금융·도시 녹색전환, 수상태양광·폐자원 에너지 등 환경분야 탄소↓ 지난 4년 반 정책성과(체감사례)_고농도 미세먼지 획기적 저감 #. A씨는 집에서 식물을 키우는 취미가 생겨 매일 아침 창 밖을 본다. 예전에는 미세먼지・황사 등 잿빛 하늘에 마음이 우울했는데, 요즘은 하늘이 참 맑아

에너지
김지성 기자
2022.01.14

Yokogawa(요꼬가와), JAXA 우주 탐사 혁신 허브 센터와 공동 프로젝트

요꼬가와(Yokogawa)는 JAXA(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의 우주 탐사 혁신 허브 센터(Exploration Hub)와 함께 광섬유 감지 기술 연구 프로젝트에 대한 작업을 시작했다고 13일 발표했다. Yokogawa는 'Brillouin 광학 상관 도메인 측정을 통한 랜덤 액세스에 의한 고온 및 저온 영역의 분포

전기
김지성 기자
2022.01.13

세계 최초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 ‘무선 통전 알림 기술’ 개발

앞으로의 미래는 에너지 제로 빌딩에 살면서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용하고, 로봇이 인간을 케어하는 보다 안전하고, 최적하고, 편리한 스마트 세상이 펼쳐질 전망이다. 이를 위해서는 DNA, 즉 빅데이터, 무선네트워크, 인공지능(AIP) 기술의 비약적 발전이 선행돼야 한다. DNA 기술의 발전을 위해

전기
박재영 기자
2022.01.10

탄소중립을 위한 한국형 에너지 사업 전략, ‘K-Taxonomy’

유럽연합(EU)이 2020년 6월 친환경 에너지 분류 체계인 ‘녹색분류체계(Green Taxonomy)'를 처음 발표한 이후, 다른 국가들도 친환경 에너지 분류 체계에 대한 논의를 하고 있다. 녹색분류체계는 다양한 녹색 에너지를 다루는 기업에 세제 및 금융 혜택을 주는 등 친환경 사업을 지원하는 방침

에너지
최 준 기자
2022.01.06

[카드뉴스]요소수 부족 사태 이어 이번엔 ‘석탄’?

한국은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천연 자원이 부족해 석탄, 석유 등 화석연료를 다른 국가들로부터 수입하고 있는데요. 전체 전기 공급량 중 화력발전이 55%를 차지하는 한국은 석탄의 한 종류인 발전용 유연탄을 사용해 대규모 화력발전 시설에서 전기를 생산합니다. 그런데 한국의 화력발

에너지
강현민 기자
2022.01.05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