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기자수첩] 17년 만의 합의, 그 이면의 무거운 심경

2026년 최저임금 결정 소식을 전하면서 가장 먼저 떠오른 단어는 ‘합의’였다. 올해보다 2.9% 오른 1만320원. 월급으로 치면 215만6880원이다. 17년 만에 표결 없이 노사 공익위원이 합의로 결론을 냈다는 점에서 현장 분위기는 한층 차분했다. 최저임금 결정 과정이 늘 갈등으로 점철되던 풍경을

소재
김지성 기자
2025.07.11

[칼럼] “Trust me, dear”… SNS 속 스캠의 덫

최근 한 중년 남성이 경찰서를 찾았다. 그는 일본인 여성과 결혼을 약속하고 1억 원 넘는 돈을 투자했지만, 연락이 끊겼다고 말했다. 그녀가 보내준 가상자산 거래소 링크에 돈을 넣은 뒤, 출금이 막히자 그제야 사기임을 깨달았다. 그러나 그의 첫마디는 ‘돈만 돌려받으면 좋겠다’가 아니었다

동향
산업종합저널
2025.07.07

[칼럼] 기술 패권의 전환점, 한국 AI가 직면한 현실과 도전

산업 트렌드와 변화하는 시각에 맞춰 정기적으로 칼럼을 업데이트하는 창작노마드입니다. 2025년 현재, 한국의 인공지능(AI) 기술 수준은 세계 주요국과 비교해 여전히 뚜렷한 격차를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글로벌 R&D 전략지도'에 따르면, 한국은 AI 4대 핵심 분야(효율적

동향
산업종합저널
2025.06.27

[데스크칼럼] 중고신입만 찾는 채용시장…청년에게 기회는 없었다

중고신입 선호, 연봉 미스매치, 지역 인식 변화라는 키워드로 요약된 이번 대한상의 채용시장 분석 결과는 오늘날 청년 세대의 고용환경이 어떤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는지 매우 직설적으로 보여준다. 채용이 더 이상 ‘성장 가능성’보다는 ‘즉시 전력감’에 집중되고 있으며, 청년들이 느끼는 좌절의

동향
산업종합저널
2025.06.24

[기자수첩] 해외전시회의 실증적 성과와 정책적 함의

KOTRA가 4일 발표한 수치(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해외전시회를 통해 신규 바이어를 발굴했다는 조사 결과)는 단순한 통계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이는 대기업 중심의 수출 구조에서 소외된 중소·중견기업들이 어떤 수단을 통해 실질적 시장 개척에 나설 수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나아가

전시회
김아라 기자
2025.06.05

[기자수첩] 확장과 현실 사이 "킨텍스가 잃어가는 것들…"

국내 최대 전시 인프라인 킨텍스(KINTEX)가 제3전시장 건립이라는 대형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그러나 외연 확장의 이면에 드러나는 운영 현실은 단순한 불편을 넘어선 신뢰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미래를 위한 투자와 현재의 기본 요건 사이에서, 킨텍스는 지금 균형점을 다시 찾아야 할 시점

전시회
허은철 기자
2025.06.04

[기자수첩] SKT 해킹, 드러난 것은 정보가 아니라 국가의 취약성이다

SK텔레콤 해킹 사태는 단순한 보안사고가 아니다. IMSI 2천695만 건, IMEI 29만 건이라는 엄청난 양의 데이터가 유출됐다는 사실보다 더 본질적인 문제는 이 사건이 한국 사회의 디지털 인프라가 얼마나 허약한 기반 위에 놓여 있는지를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유출된 것은 ‘숫자’가 아니라

동향
조준상 기자
2025.05.20

[기자수첩] “보조금? 그런 거 없어요”… 중국 기업들 '한국은 여전히 유효'

전시장에서 만난 중국 기업 대표는 내 질문에 고개를 저었다. “보조금? 그런 거 없어요. 다 우리 돈이에요.” 말끝은 짧았지만 표정엔 짧지 않은 사연이 묻어 있었다. ICPI WEEK 행사장에서 만난 중국 기업 대부분은 정부 지원 없이 참가했다고 답했다. 팬데믹 이후 사실상 지역정부의 보조금이

전시회
허은철 기자
2025.05.15

[기자수첩] “언제까지 중소기업이어야 합니까?”

자동차 부품을 28년간 제조해온 한 기업인의 이 질문은 단순한 하소연이 아닌 산업계 전반의 구조적 딜레마를 함축한다. 60여 명의 임직원과 연매출 1천520억 원. 과거엔 '중소기업의 성공 신화'로 불렸던 이 회사는 어느 순간 중소기업 기준을 초과했다는 이유로 중견기업으로 재분류됐다.

정책
김지운 기자
2025.05.13

[기자수첩] 핵심기술이란 말, 그 안에 담긴 힘의 구조

산업통상자원부가 ‘국가핵심기술 지정 등에 관한 고시’ 개정안을 행정예고했다. 개정안에는 총 18건의 기술이 새롭게 지정되거나 조정됐으며, 이 가운데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아연제련, SAR(합성개구레이다) 신호처리 기술 등 3건이 처음으로 국가핵심기술 목록에 포함됐다. 기술 환경 변화에

동향
김아라 기자
2025.05.08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