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채용의 문은 더 단단해졌고, 그 문을 여는 열쇠로 ‘A.C.E’라는 이름이 붙었다. 인공지능(AI), 소통 능력(Communication-fit), 직무 전문성(Experience). 대한상공회의소가 500여 개 기업을 상대로 진행한 조사 결과, 이 세 항목은 이제 기업이 인재를 가늠할 때의 공통분모가 되었다.
25일 열린 한미 정상회담은 흔들리는 글로벌 통상 질서 속에서 치러졌다.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가 세계 교역 규범을 흔들고 주요 산업 전반에 비용을 전가하는 가운데 열린 회담은 단순한 외교 이벤트를 넘어, 한국 산업계, 특히 중견기업에게 새로운 생존 전략을 모색해야 하는 분수령으로 읽힌다.
[기자수첩] “고용도 안 되고, 공제도 없다… 공장은 버틴다” ‘세금’이라는 단어는 대개 불편하게 다가온다. 혜택보다 부담이 먼저 떠오르고, 공제는 고용이나 투자와 같은 공공 목적을 위한 제도임에도 왠지 ‘면세’나 ‘탈세’와 비슷하게 느껴질 때도 있다. 하지만 한국 경제에서 중견기업이
세계 공급망의 지도가 다시 그려지고 있다. 과거 ‘저비용·고효율’ 중심의 글로벌 분업 체계는 팬데믹, 미·중 무역 갈등, 지정학적 충돌을 거치며 균열이 깊어졌다. 원자재 확보, 기술 안보, 환경 규제가 동시에 작용하면서, 산업 경쟁력의 기준은 가격이 아니라 안정적 공급망 유지 능력으로 옮겨
한때 제주도는 공항이 없던 시절이 있었다. 섬을 오가는 유일한 수단은 배였다. 태풍이나 악천후가 닥치면 며칠씩 고립되기 일쑤였다. 그 시절의 제주도는 육지와 단절된 독립된 섬이었고, 그만큼 독특한 문화와 사람을 지켜낸 땅이었다. 지금은 다르다. 제주국제공항에는 매일 수십 대의 비행
협상이란 본래 각자의 셈법이 엇갈리는 자리이다. 같은 단어를 쓰더라도 서로 다른 계산기를 두드린다. ‘동등한 조건’이라는 표현도 그중 하나다. 겉으로는 모두가 만족한 듯 보이지만, 누가 더 많은 것을 얻었는지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국가 간의 통상 합의는 언제나 그런 식이다. 복잡한 계산
같은 헬멧을 쓰고, 같은 작업복을 입고, 같은 먼지를 마시는데 한쪽은 말을 걸면 불법이 된다. 이 나라에서는 오랜 시간 하청 노동자가 원청 사용자에게 말을 거는 일, 대화를 요청하는 일이 ‘법 위반’이었다. 2024년 7월, 국회 환노위를 통과한 노조법 2·3조 개정안은 그 당연한 권리를 처음으로
연일 계속되는 폭염 속, 산업안전보건기준이 바뀌었다. 이달 17일부터는 체감온도 33도 이상일 때 ‘2시간마다 20분 휴식’이 법으로 명시됐다. 고용노동부는 ‘폭염안전 5대 수칙’을 발표하며 강제성까지 강조했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달라진 게 없다는 목소리가 잇따른다. 제도가 마련돼도 그 제도
출처조차 불분명한 문자 한 통. 무심코 눌러본 손끝이 낯선 앱 설치로 이어지고, 그 틈을 노린 스미싱 범죄가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노린다. 실제로 악성 앱이 설치된 뒤 피해자의 계좌가 털리는 사례도 적지 않다. 피해자들이 내뱉는 첫마디는 비슷하다. “쿠폰이라길래… 정부에서 주는 줄
기술은 앞서가는데 제도는 뒷걸음친다. 창의와 융합을 강조하는 시대에 연구소는 여전히 콘크리트 벽을 요구받고, 반도체 공장은 외부 오염을 차단해야 하는 클린룸 한가운데 40m마다 소방관 진입창을 뚫으라는 명령을 받는다. 농촌 소득을 다각화하겠다는 정부가 내건 영농형 태양광은 ‘8년 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