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최전선의 외국인 근로자④]“이게 괴롭힘 맞나요?”…‘나부터 의심하는’ 외국인

국내 체류 중인 외국인 근로자가 문화와 인종에서 차별을 느끼고 있다는 인식은 이미 전부터 한국 사회에 만연한 사회 문제다. 지난해 통계청 ‘이민자 체류 실태 및 고용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체류 외국인들이 한국 생활에서 겪는 어려운 사항(복수응답)들 가운데 ‘생활방식, 음식 문화차

동향
강현민 기자
2023.01.25

[최전선의 외국인 근로자③]‘위험의 이주화’… 위험 현장에 내몰리는 외국인근로자

정부가 중소기업·특정업종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인력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국인 인력을 역대 최대 규모로 불러들일 계획이다. 10년 장기체류를 비롯해 상·하차 직종의 고용을 허용하는 등 기존의 고용허가제도도 대폭 손질하면서, 생산 대체 인력으로 외국인을 적극 활용하는 모습이

동향
강현민 기자
2023.01.24

실체 불확실한 메타버스…공감대와 비즈니스 형성해 인식 바꿔야

메타버스 산업이 부상하고 있지만 아직 그 실체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이를 산업에 활용하고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산학연의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 최초로 메타버스 ETF(Exchange Traded Fund)를 상장시킨 매튜 볼(Matthew Ball)은 메타버스의 핵심 속성으로 ▲지속성 ▲실시간 동기화

기타
전효재 기자
2023.01.23

[최전선의 외국인 근로자②] 기도공간·무슬림 식단 마련해준 건설현장…포용문화 갖춰야

구랍 29일 정부는 산업 현장 내 노동 생산성 불균형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고용허가제 개편방안을 발표했다. 관련 내용을 보면, 외국인력 숙련체계 구축, 외국인력 취업 활동 범위 확대를 통한 활용체계 고도화, 외국인력 합법적 고용환경 조성을 통한 체류 지원 강화, 노동시장 상시 분석시스템 구

동향
최 준 기자
2023.01.23

[최전선의 외국인 근로자①]인구절벽 매달린韓…외국인 근로자는 역대 최대

‘곳간은 비어가는 데 흉년만 예고되고 있다’ 2023년 한국 인력 시장의 이야기다. 경제활동에 기여할 수 있는 인구를 뜻하는 생산연령인구의 날개 없는 추락이 예고되고 있다. 출생률마저 뚝뚝 떨어지면서 인구 절벽이 눈앞에 다가오고 있다. 당장의 선택지는 외국인 인력으로 옮겨간다.

동향
강현민 기자
2023.01.19

제2의 중동붐···과거 ‘플랜트發 어닝 쇼크’ 기억해야

지난해 11월 사우디아라비아(사우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한국을 방문해 정부 및 재계 인사들과 만남을 가졌다. 그는 네옴시티 프로젝트와 관련해 40조 원에 달하는 양해각서(MOU)에 사인하며, 네옴시티 구축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국내 건설업계 역시 제2의 중동붐을 준비하는

동향
최 준 기자
2023.01.10

[2022년 10대 이슈] ⑩에너지

지난 2월 발발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세계 에너지 공급망이 불안정해지면서,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에너지 가격 급등으로 당장에 전기․가스 요금 인상도 불가피하다는 전망입니다. 한편에선 기후 위기로 화석원료 비중이 점점 줄어들고, 신재생에너지 수요는 높

동향
박재영 기자
2022.12.30

[2022년 10대 이슈] ⑨반도체

국내 반도체 산업은 한국의 과거, 현재, 미래를 잇는 먹거리다. 하지만 최근 한국 반도체 시장은 많은 우여곡절을 겪고 있다. 지난 2019년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면서,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불화수소 등 화학물질에 대한 수출을 규제한 바 있다. 2020년과 2021년은

동향
최 준 기자
2022.12.29

[2022년 10대 이슈] ⑧노-사 갈등

올해는 노-사, 노-정간에 첨예한 대립이 있었습니다. 주요 이슈를 꼽자면 노란봉투법과 안전운임제입니다.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를 요구한 화물연대의 경우 올해만 총 파업을 두 차례나 단행했습니다. 입장차는 좁혀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지금도, 관련 법안은 논쟁의 중심에서 표류하고

동향
김아라 기자
2022.12.28

[2022년 10대 이슈] ⑦ESG

최근 비재무적 요소인 ESG 경영은 기업의 주요 평가 기준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일컫는 말로, 2006년 UN 책임투자원칙(PRI) 발표에서 처음 등장해 2020년부터 주목받기 시작했다. 올 한 해 일곱 번 째 10대 이슈는 ESG다. 본

동향
최 준 기자
2022.12.28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