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열쇠, ‘원자의 진동’에서 찾았다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 꼽히는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에 새로운 돌파구가 열렸다. 고려대학교 강용묵 교수 연구팀이 고체전해질 내 원자 진동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제어해, 이온 전도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시한 것이다. 한국연구재단은 24일 강용묵 교수 연구팀이 불

에너지
조준상 기자
2025.09.25

K-GEO Festa 2025 개막…공간정보 신기술과 융·복합 트렌드 조명

국내 최대 규모 공간정보 기술 교류의 장인 ‘2025 K-GEO Festa’가 24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막을 올렸다. 올해 17회를 맞은 이번 행사는 디지털 국토 전환의 핵심 인프라인 공간정보를 주제로 최신 기술과 산업 간 융·복합 활용 트렌드를 집중 조명한다. 전시장에서는 공간정보 신기술 전시와

전시회
김아라 기자
2025.09.24

World CITYTech Expo 2025 개막

‘2025 월드 시티테크 엑스포(World CITYTech Expo 2025)’가 24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문을 열었다. 올해 행사는 ‘Better Cities, Better Lives’를 주제로 스마트시티를 넘어 도시재생과 재개발·재건축 분야까지 포함하며 수도권 최대 규모의 도시 솔루션 전시회로 자리매김했다. 경기주택도시공사

전시회
김지운 기자
2025.09.24

두께 27㎛ 고체전해질막 개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 걸음 더

두께 27㎛ 고체전해질막 개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 걸음 더두께 27㎛ 고체전해질막 개발… 전고체 전지 상용화 한 걸음 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로 주목받는 전고체 전지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고체전해질막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고이온전도성 황화물계

전자
조준상 기자
2025.09.24

K-디스플레이, 국회서 정책 해법 모색…산·학·연·관 첫 공식 토론회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이 글로벌 경쟁 심화 속에서 활로를 찾기 위해 국회와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이 한자리에 모였다. 위기 진단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공유하며 ‘K-디스플레이’의 미래 전략을 집중적으로 다뤘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회장 이청)는 23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전자
허은철 기자
2025.09.24

[뉴스그래픽] 中 기업 질주, 韓은 제자리…10년 성장속도 6.3배 차이”

글로벌 2천대기업을 국가별로 분석한 결과, 지난 10년간 중국 기업의 매출 성장률이 95%로 한국(15%)보다 6.3배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진입 기업의 대거 등장과 기술 중심 성장세가 중국 기업생태계의 힘을 보여주는 반면, 한국은 금융업 위주의 제한적 확대에 그친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상

동향
허은철 기자
2025.09.24

[기술기고] 워크플로우 자동화가 산업 생산성과 재무 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영향

산업 현장은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 도입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이 실제로 현장에서 어떤 성과를 만들어내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검증이 필요하다. 최근 지브라 테크놀로지스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가 공동으로 수행한 글로벌 연구는 워크플로우 자동화와 최적화가 생산

FA
김지성 기자
2025.09.23

케나메탈 황형택 전무 “한국 시장, 변화 속 기회 집중해야”

제조업 전환기의 파고 속에서 글로벌 절삭공구 기업 케나메탈이 국내외 파트너들과 해법을 모색했다. 케나메탈은 지난 18일 부산 신라스테이에서 ‘The Power of Partnership – Grow Together!’를 주제로 파트너데이를 열고 산업별 전망과 대응 전략을 공유했다. 황형택 전무는 ‘Korea Ma

공구
허은철 기자
2025.09.23

기계산업 전 밸류체인 집결… ‘2025 아시아 기계 & 제조 산업전(AMXPO)’ 개막

국내 기계·제조업의 전 밸류체인을 한눈에 볼 수 있는 ‘2025 아시아 기계 & 제조 산업전(AMXPO)’이 9월 23일 일산 킨텍스에서 막을 올렸다. 올해 전시는 13개국 149개사, 660부스 규모로, 금속가공·스마트팩토리·소재·부품·에너지플랜트까지 제조업 전 영역을 망라했다. AMXPO는 지난해

기계
김지성 기자
2025.09.23

상생페이백 첫 주 643만 명 신청… 디지털 온누리 앱, 다운로드 1위

상생페이백이 첫 주부터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전국적으로 643만 명이 신청했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디지털 온누리’는 앱스토어와 구글플레이 다운로드 순위에서 동시에 1위를 기록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15일부터 21일까지 진행된 상생페이백 접수에서 누적 신청자가 6,429,8

동향
김아라 기자
2025.09.23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