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기자수첩] ‘AI 전 국민 교육’ 선언… 관건은 ‘현장 작동성’

교육부가 ‘모두를 위한 AI 인재양성’ 방안을 내놨다. 초등학생부터 재직자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생애주기별 AI 교육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이다. 생성형 AI가 일상화된 시대, 기술의 보편화를 교육 정책에 반영한 첫 대규모 로드맵이다. 문제는 계획이 현장에 안착할 수 있는가다. 초·중등

정책
조준상 기자
2025.11.12

[데스크칼럼] 노동은 끝나지 않았다, 구조가 끝냈을 뿐이다

김수찬 씨(62세·경기도 거주)는 매일 아침 6시에 기상한다. 셔츠를 다리고 구두를 닦는다. 나갈 곳이 없다는 사실을 가족 모두가 알지만, 그는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자신이 무너질 것 같다고 했다. 퇴직 후, 그는 자신이 투명해지는 기분을 느꼈다. 길을 건너도 차가 멈추지 않았고, 은행

동향
산업종합저널
2025.11.04

[칼럼] “일하면 연금 깎입니다”… 누가 고령자에게 죄를 묻는가

13만 7,061명. 지난해 ‘일을 했다는 이유로’ 국민연금이 감액된 사람의 수다. 총 감액액은 2,430억 원. 4년 새 43%나 늘었다. 특히 월 50만 원 이상 깎인 사람은 2만 6,000명이 넘는다. 이들은 단지 은퇴 후에도 일했다는 이유로 연금을 줄여 받는다. 무슨 죄를 지은 걸까? 국민연금법

동향
산업종합저널
2025.10.29

[산업칼럼] “슈퍼 을”? 반격은 됐지만, 주도는 아직 아니다

정부가 ‘슈퍼 을(乙)’을 앞세운 2026~2030년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 전략을 발표했다. 15대 초격차 기술개발 프로젝트, AI 기반 신소재 개발, 특화단지 10곳 추가 지정, 그리고 수요-공급 협력모델의 고도화. 표면적으로는 과감하고 전면적인 ‘기술 주권 선언’처럼 보인다. 하지만 자세

정책
산업종합저널
2025.10.28

[기자수첩] “멈춰선 공장의 침묵, 무너지는 사람들”

제조업이 무너진다는 말은 단지 산업 하나가 사라지는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한국 사회를 지탱해 온 가장 두터운 삶의 층이 무너진다는 말이고, 국가라는 공동체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한 채 눈앞의 지표에만 몰두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최근 대한상공회의소의 조사에 따르면 제조업체 10곳 중 7

동향
허은철 기자
2025.10.21

[데스크칼럼] 디지털 사다리를 끊어버린 정부

중소기업이 ‘디지털 전환’이라는 말을 처음 들었을 때, 그것은 구호이기보다는 절망에 가까웠다. 데이터를 모으고, 공정을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높이라는 말은 들었지만, 당장 전기세 낼 돈도 빠듯한 영세 제조업 입장에서 그것은 언감생심이었다. 그때 정부가 내민 손이 ‘스마트공장 기초단계 예

정책
산업종합저널
2025.10.17

[칼럼] 현금이 급한 자 vs 생계가 급한 자”

조기노령연금 제도가 처음 설계됐을 때의 모습은 지금과는 많이 달랐다. 당초 이 제도는 건강이 악화되거나 노동시장에서 조기 퇴출된 고령층이 생계의 마지막 끈을 붙잡을 수 있도록 마련된 장치였다. 쉽게 말해, “노동을 더는 지속할 수 없는 이들이 가난을 견디는 마지막 수단”이었다. 그러나

정책
산업종합저널
2025.10.17

[기자수첩] 기술은 뚫렸고, 신뢰는 사라졌다

KT 소액결제 해킹 사건이 밝혀낸 것은 단순한 보안 실패가 아니다. 그것은 통신 기술이 일상 깊숙이 스며든 사회에서 ‘안전하다 믿었던 것들이 얼마나 쉽게 뚫릴 수 있는지’를 실증한 사건이다. 동시에, 이런 구조적 침해 앞에서도 기업이 얼마나 느리고 관성적으로 대응하는지 확인한 계기이기

동향
조준상 기자
2025.09.22

[데스크칼럼] 해킹보다 두려운 것은 기업의 무감각이다

297만 명. 피해 고객 수치다. 200기가바이트. 빠져나간 정보의 용량이다. 롯데카드에서 발생한 해킹 사고는 수치만으로도 규모를 가늠하기 어렵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이 엄청난 침해가 사고 이후에야 외부에 알려졌고, 그 과정에서 책임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번 사고는

동향
산업종합저널
2025.09.22

[기자수첩] 검은 전기, 하얀 거짓말

전기차는 미래였다. 매연 대신 조용한 바퀴 소리가 도로를 달리는 도시는 기후위기를 넘어설 희망으로 여겨졌다. 국가는 그 바람을 ‘보조금’으로 뒷받침했고, 지난 5년간 6천600억 원이 투입됐다. 목적지는 분명했다. 탄소중립, 그리고 더 나은 내일이었다. 하지만 현실은 멈춰 선 충전기들로

동향
김지운 기자
2025.09.18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