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부품

[산업지식퀴즈] 반도체 칩에 구멍을 뚫어 전극을 연결하는 반도체 패키징 기술은?

반도체 패키징(Packaging)은 반도체 칩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드는 공정인데요. 웨이퍼에서 분리된 개별 칩을 패키지 기판에 접합하고 포장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러한 패키지 기술에는 컨벤셔널 패키지(Conventional Package)와 웨이퍼

전자
권신혁 기자
2022.02.08

하시코프(HashiCorp) “클라우드 인프라 관리와 운영…코드로 자동화할 수 있어”

“단일 시스템으로 멀티 및 하이브리드 인프라스트럭처를 코드로 관리하며, 보안 정책 역시 코드로 설정해 배포시 컴플라이언스를 준수할 수 있는 워크플로우 수행이 가능하다” 하시코프(HashiCorp) 코리아 최석인 이사는 지난 25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에서 개최된 ‘HashiCo

전자
김지성 기자
2022.01.27

블록체인 산업, NFT·메타버스…관련 중소기업의 현실은 '열악하다'

블록체인 시장은 법과 제도가 기술의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암호화화폐, 가상화폐, 대체불가토큰(NFT), 메타버스 등 블로체인과 연결된 산업들이 점점 더 활성화되고 있다. 시장 전망은 환해보이지만 관련 블록체인 시장에 속한 중소기업들은 법적으로 벤처기업으로도 인정받지 못하고 있

전자
김지운 기자
2022.01.20

삼성 SDS, 매주 70TEU 중소기업 전용 선복으로 배정 '글로벌 물류애로' 해소

물류난을 겪고 있는 중소·중견기업을 돕기 위해 정부와 KOTRA가 다음달부터 물류 지원 서비스를 확대한다. 현지 재고 판매를 지원하는 ‘해외공동물류센터’와 국제운송을 지원하는 ‘물류전용 수출바우처’가 KOTRA의 대표 물류 지원 사업이다. 올해 초 국내기업 총 837개를 해외공동물류센터

전자
박재영 기자
2022.01.18

[산업지식퀴즈] 사람의 뇌를 닮은 반도체라 불리는 ‘이것’은?

사람의 뇌 신경망을 모방한 차세대 반도체인 ‘이것’은 딥러닝 등 인공지능(AI) 구현에 유리하다고 평가받는 부품인데요. 정보 저장과 처리가 분리돼 간혹 병목현상이 발생하는 CPU(중앙처리장치)와 달리, ‘이것’은 뇌의 운영원리처럼 정보 저장과 연산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글로벌 IT기

전자
권신혁 기자
2022.01.18

RISC-V 반도체 칩 설계 플랫폼 개발

국내 연구진이 시스템반도체를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반도체 설계기술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국내 중소 팹리스 업체들이 신속하게 경쟁력 있는 제품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리스크파이브(RISC-V) 기반 반도체 칩을 쉽고 빠르게 설계할

전자
김지운 기자
2022.01.13

[구로중앙유통단지①]글로벌 반도체 대란 여파...전자부품 유통업계도 ‘발 동동’

“반도체 대란 이후 크게는 30% 이상 매출이 하락했죠.” 구로중앙유통단지에서 전자부품을 유통하는 한 업체 관계자의 말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반도체 공급난으로 인해 부품 수급에 어려움을 겪는다며 고충을 털어놨다. 글로벌 반도체 공급난은 유통업계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반도체

전자
권신혁 기자
2022.01.13

[산업지식퀴즈] 구조물의 기초를 고정해 결합하는 ‘이것’은?

철골 구조 및 목조 기둥의 밑부분이나, 철근 콘크리트의 기초를 고정할 때 닻(Anchor) 모양의 ‘이것’을 활용하는데요. ‘이것’은 용도에 따라 세트(Set), 웨지(Wedge), 케미칼(Chemical), 스트롱(Strong) 등으로 구분하며, 기초 공사뿐만 아니라 전기 공사, 인테리어 천장 시공 등 다양한 분야

부품
최 준 기자
2022.01.11

CES 2022 혁신상 623개 중 한국 기업 제품·기술 22.3% 차지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인 CES 2022가 개최됐다. 올해 CES는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인 약 2천200여 개 기업이 참가,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절반가량 규모가 축소됐다. 반면, 한국 기업은 역대 최대 규모로 참가, 코로나19의 어려운 상황을 기술 혁신과 제

전시회
김지성 기자
2022.01.10

ETRI와 프랑스 전자정보기술연구소(CEA-Leti) 간 5G 서비스 시연 성공

국내 연구진과 유럽연합(EU)의 국제공동연구진이 5G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인프라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통신 인프라가 부족한 오지·해상 지역이나 재난 상황에서도 끊김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게 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세계 최초로 5G-위

전자
김지운 기자
2022.01.06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