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받은 중소기업 평균 생산성 128.1% 증가

2019년부터 추진 중인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은 높은 비용부담 등으로 인해 공장 스마트화를 포기하는 경기도 영세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진입을 위한 자동화 장비 도입을 지원하고 있다. 영세 소기업이 스마트공장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전문컨설턴트가 현장진단부

FA
신수정 기자
2021.04.02

의약품 개발·제조에 도입 가속화되는 ‘로봇’

로봇이 의약품 개발 및 생산, 약물 분배 등의 자동화시스템에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Grand View Research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 로봇 시장 규모는 2020년에 1억 4천290만 달러로 평가되었으며 2021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 9.3%의 성

로봇
김지운 기자
2021.03.30

[산업VIEW] 체험도 경품도 최첨단, ‘AI 전시회는 다르네’

최첨단 기술의 핵심인 AI의 현주소와 미래를 한자리에 모은 AI EXPO KOREA(2021 국제인공지능대전)이 둘째날에도 다양한 체험거리로 관람객들의 발걸음을 이끌었다. 현장에서는 AR / VR 기술을 이용한 체험거리들을 비치한 기업의 부스를 방문한 이들이 헤드기어를 착용하고 체험을 진행했으며, 기

전시회
박재영 기자
2021.03.25

[산업 View] 한국-중국, 청도에서 함께 만들어 가는 ‘로봇강국의 꿈’

한국의 미래먹거리 산업 중 하나인 로봇산업이 코로나팬데믹으로 인해 해외 진출길이 막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온라인을 통한 수출상담회로 한국 로봇기업의 수출길을 만들어가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한국로봇산업협회는 코트라(KOTRA) 바이코리아와 연계해 ‘K-ROBOT 온라인 수출상

로봇
윤성준 기자
2021.03.11

일본 HCJ 박람회 등장한 최신형 배송 로봇·소독 로봇

중국 로봇 개발 업체 푸두 로보틱스(Pudu Robotics)는 지난달 일본 도쿄 지바현 국제전람센터에서 열린 HCJ 박람회에서 배송 로봇과 최신형 소독 로봇 ‘푸덕터 2(Puductor 2)’를 선보였다고 3일 밝혔다. HCJ 전시회는 호텔 및 케이터링 관련 대규모 브랜드 전시회로 일본을 비롯해 세계 관련 업계에서

로봇
윤성준 기자
2021.03.03

[산업 View] 국내로봇 기술, 온라인 발판으로 해외시장 진격

전세계에서도 내로라 하는 수준에 도달한 국내 로봇 기술이 코로나19로 인해 해외진출길이 막혀 애를 먹고 있다. 이에 온라인을 활용해 해외 시장 진출 가능성을 타진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국내 로봇기업의 해외 교류활동과 신규 판로개척 활성화를 위해 ‘K-Robot 온라인전시관’을 구축‧운영하

전시회
박재영 기자
2021.02.25

[Scientist] 생기원 조정산 박사, 로봇팔 달린 ‘재난대응 특수목적기계’ 개발

재난 현장에서 소방관들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복잡하고 힘든 구조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재난대응 특수목적기계’가 개발됐다. 이 개발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조정산 박사는 사람이 하기 힘든 위험한 작업을 사람처럼 수행할 수 있는 대체 장비 개발이 궁극적

로봇
김지운 기자
2021.01.26

서비스로봇 연평균 28% 성장 '블루오션'

전 세계 서비스로봇 분야는 2017년 이후 연평균 28% 성장하고 있는 블루오션이다. 리서치업체 트랙티카에 따르면, 2025년 시장규모는 1천593억 달러(약 186조3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서비스로봇 전문기업 '로보쓰리'(대표 김준형)가 서울대 AI연구원(AIIS, 원장 장병탁)과

로봇
김지성 기자
2020.12.23

[움짤뉴스] 로봇 '리쿠', "신축년(辛丑年) ‘흰소의 해’ 복많이 받으세요"

‘2020 대한민국 지식재산대전’에 참가한 서울디지털재단 부스에서 교육용 로봇 ‘리쿠(LIKU)’가 한복을 입은 채 참관객을 향해 세배를 올리고 있다. 서울디지털재단 관계자는 “리쿠의 이마에 손을 짚은 후, ‘춤춰줘’, ‘사진찍자’ 등의 일정 명령을 말하면 음성 인식을 통해 리쿠가 해당 명

로봇
김지성 기자
2020.12.04

의료 로봇 시장 ‘후끈’

안내·접객은 물론 서빙, 배송, 방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대면 서비스 로봇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의료 분야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비대면 방역이 강화되면서 수혜를 입고 있는 대표적인 로봇 분야 중 하나이다. 특허청에 따르면, 헬스케어 관련 서비스로봇 출원은 ’20

로봇
김지운 기자
2020.10.29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