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에너지

분산에너지 활성화 방안 논의…해결 과제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지난 5월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기존 중앙집중형 전력시스템의 한계를 해결하고,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해 소비하는 분산에너지 시스템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중앙집중형 전력계통은 지리적 제약이 크다. 주요 발전 시설은 해안가를 따라 U자 모양으로 위

전기
전효재 기자
2023.08.21

얇고 유연한 전고체배터리 핵심기술 개발 성공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이차전지로 알려진 전고체배터리를 위한 고체 전해질막 개발에 성공했다. 성능이 높은 전고체배터리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과 고분자 직물 지지체를 활용해 기존 펠릿(전고체 전해질 입자를 압축해 만들어진 작은

전기
박재영 기자
2023.08.18

김해에 전력반도체 대형 인프라 구축

전력반도체는 전력이 필요한 곳이면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산업의 중요 부품으로, 전류 방향을 조절하고 전력 변환을 제어하는 등 사람의 몸으로 치면 근육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 최근 대부분의 일상에서 전기가 중심이 되는 '전기화(Electrification)’ 시대가 가속화되고 있는 만큼 전

전기
박재영 기자
2023.08.17

산업부, “예상보다 전력 수요 높아…긴장감 갖고 관리할 것”

지난 7일 전력수요가 역대 여름철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전력 수급 관리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비상 대응 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8일 무더위로 전력수요가 최고조에 이르러 전력 수급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에너지
박재영 기자
2023.08.08

전기차 동력원 리튬이온 배터리 열폭주 이유 찾아내

전기 자동차 보급량이 늘어나면서 동력원인 리튬 이온 배터리의 안전성 확보가 중요한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에너지 밀도가 높아 전기차용으로 많이 사용돼 오고 있으나, 여러 기계적/전기적 남용으로 인해 배터리가 폭발하는 열폭주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운전자와 차량 자체의

전기
박재영 기자
2023.07.27

라이젠코리아, 에너리스㈜에 고품질 모듈 솔루션 제공

라이젠코리아(RISEN KOREA)는 에너리스㈜가 진행하는 대규모 지붕태양광 프로젝트에 10MW 고품질 라이젠에너지(RISEN ENERGY) 모듈을 공급했다. 25일 라이젠코리아에 따르면, 지붕태양광 프로젝트는 국내 20개 이상의 다양한 지역에 시공 예정이다. 각 지역의 기후조건, 지역적 특성, 건축물의

에너지
김지성 기자
2023.07.25

충전기 국제 표준 넘보는 테슬라…머스크 숨은 의도는?

북미 전기차 충전 생태계가 테슬라의 독자 충전규격인 NACS(North American Cha rging Standard)로 쏠리고 있다. 켄터키 주를 시작으로 NACS를 의무 도입하는 미국 주정부가 속속 등장하는 추세고, 포드‧GM‧벤츠 등 완성차 업체도 NACS로의 전환을 발표했다. NACS가 미국 시장을 점령하면 국제

전기
전효재 기자
2023.07.20

이차전지 1등 국가 실현 한발짝 더

산‧학‧연‧관 관계자가 참여하는 '차세대이차전지 민‧관 협의체'가 출범됐다. 정부는 각계의 소통‧교류와 민간의 수요‧의견 반영을 통해 이차전지 R&D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최근 서울 엘타워에서 민‧관 협의체 출범과 관련, 차세대이

에너지
박재영 기자
2023.07.19

‘슈퍼 프리미엄’급 산업용 전동기 개발

산업용 전동기는 전 세계에서 전력을 가장 많이 소비하는 기기다. 한국은 전체 전력 소비량 중 전동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50% 이상에 달한다. 지난 2018년 한국전기연구원은 전 세계 전동기 효율을 3%만 높여도 1GW급 원전 108기를 짓지 않아도 되고, 가치로 환산하면 약 34조원을 절감할

전기
김지성 기자
2023.07.17

한·독, 레이저 가공 기술로 연료전지 생산 효율 높인다

선박과 비행기 등에 활용하는 연료전지는 점차 가벼워지면서 분리막의 두께가 줄어들고 있다. 연료전지의 생산 효율과 품질을 향상할 박판 분리막 레이저 가공 기술이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국내 중소기업 ㈜케이랩,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B

에너지
박재영 기자
2023.07.04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