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에너지

“재생에너지 산업 살리는 정책 변화 필요해”

“정부의 정책 후퇴가 재생에너지 산업과 시장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책 기조 전환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정우식 한국태양광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최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재생에너지 정책 후퇴, 어떻게 풀어갈 것인가?’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이 피력했다. 그

에너지
박재영 기자
2022.12.08

'청정수소 인증 제도' 기본 원칙 5가지는?

어떤 수소를 '청정한 수소'로 볼 것인가가 수소 업계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기준을 어떻게 삼는지에 따라 인센티브 확보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15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는 현재 정부가 계획 중인 청정수소 인증제도의 현황과 방향성에 관한 발표가 진행됐다. "결국엔 온실가

정책
강현민 기자
2022.11.15

전 세계 글로벌 배터리 제조사들, 앞 다퉈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뛰어들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폐배터리 재활용을 한국 배터리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분석했다. 기계연은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 글로벌 동향을 분석하고 유망기술과 활성화 방안을 담은 기계기술정책 제109호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글로벌 동향과 시사점’을 발

에너지
김지성 기자
2022.11.15

열분해 기술로 폐타이어 재활용

기후 위기 대응 차원에서 폐기물 자원을 재활용하는 순환자원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에 참가한 친환경 소재기업 (주)엘디카본은 폐타이어를 수집해 재활용하는 과정을 소개했다. 이 회사는 폐타이어나 기타 고무 제품을 수거

전시회
강현민 기자
2022.11.11

스마트그리드, ‘베트남, 인도네시아, 인도, 필리핀’ 공략해야

스마트그리드는 기존 전력망에 ICT기술을 접목해 전력망을 실시간으로 관찰·통제하고, 양방향 통신을 통해 운영효율을 최적화하는 전력시스템이다. 기존의 전력 네트워크가 소수 공급자 중심의 수직적·통 제적인 반면, 스마트그리드는 다수의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상호작용에 기반한 수평적·협력적

전기
박재영 기자
2022.11.10

에너지 안정성 높이는 집단에너지 "적절한 보상 체계 필요"

에너지 안보 위기로 전력 수급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분산전원의 중요 성이 커지고 있다. 보상 및 제도 마련으로 분산전원 도입을 활성화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9일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홍정민, 국민의힘 박수영 국회의원 주최로 '분산형 전원으로서 집단에너

에너지
김지운 기자
2022.11.09

LS전선-LS머트리얼즈, 하이브리드 ESS 개발

LS전선은 9일 자회사 LS머트리얼즈와 함께 ‘전기차 충전용 하이브리드ESS(H-ESS) 개발’ 국책과제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H-ESS는 기존 ESS의 리튬이온 배터리(LIB)에 리튬이온 커패시터(LIC)를 결합해 전력 공급의 안정성을 높이고, 화재 위험성은 낮춘 제품이다. 커패시터는 고속 충·방전과

전기
박재영 기자
2022.11.09

재생에너지, 2030년 목표로 RE100·RPS 충당 어려워

RE100에 관한 국제 사회의 요구로 국내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확보가 절실하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발표한 10차 전력기본 계획안에 따라 재생에너지 비율이 전보다 줄어들면서, 이를 향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8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는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을 진단하고, 시민 참

동향
강현민 기자
2022.11.09

[기술기고] 디지털 트윈을 통한 기가팩토리 구축 촉진

전 세계적으로 전기 자동차(EV) 혁명이 한창 진행 중입니다. 증가하는 전기 자동차에 충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고 할 경우 처음부터 성장을 지원하는 스마트하고 확장할 수 있는 생산 전략을 통해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고 확신해야 합니다. 배터리 공급이 중단되거

전기
산업종합저널
2022.11.09

블랙아웃 우려 커지는 재생에너지…수소로 극복?

재생에너지 전력계통의 불안정 문제가 재생에너지 활용의 발목을 잡고있다. 2030년 전력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고 선언한 제주도는 전력 공급 과부하로 발생하는 전력계통 문제 해결을 위해 수소를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기준 제주도 전체 전력 설비 가운데 신재생에너

전시회
강현민 기자
2022.11.03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