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직장인 가장 큰 스트레스는 ‘성과에 대한 압박감’

직장인이 받는 가장 큰 스트레스는 무엇일까. 나우앤서베이가 최근 이 같은 주제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1위는 영업/업무 성과에 대한 압박으로 나타났다. 엘림넷 나우앤서베이는 지난달 4일부터 12일까지 나우앤서베이 자체 직장인 패널 1천92명(남성 627명, 여성 465명)을 대상으로

동향
김지성 기자
2020.01.03

안산 스마트허브, 수소 인프라 집약된 ‘수소산업 메카’ 구축

안산 스마트허브 및 대부도 방아머리 일원이 수소 생산에서부터 저장, 이송, 활용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친 인프라가 총 집약된 ‘수소산업의 메카’로 거듭나게 될 전망이다. 이달부터 2022년 12월까지 3년 동안 수소기반 도시 구현에 290억 원이 투입된다. 국토부는 ‘수소시범도시 공모

동향
박재영 기자
2020.01.03

기업하기 좋은 지역 '성남밸리', 전국 1위

대한상공회의소의 기업체감도 조사결과, 종합 1위는 혁신의 산실 ‘성남시’가, 개선도 1위 지역으로는 ‘경북 군위군’이 뽑혔다. 대한상의가 전국 228개 지방자치단체와 기업 8천800여 개를 대상으로 한 ‘2019년 기업환경 우수지역 평가’ 결과 이 같이 밝혀졌다. 이번 기업환경 우수지역

동향
안호진 기자
2019.12.28

2020 산업계 경기 전망

2020년 글로벌 경제 및 한국 경제는 2019년과 비슷한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부분 산업의 단기적·중장기적 리스크가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장기 침체의 기저 효과로 인해 경기 반등의 가능성이 높아 보이기는 하지만, 경기 하방 리스크들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더블딥에

동향
박재영 기자
2019.12.24

공유 전동킥보드 시장 성장 ‘가속화’, 안전사고 방지 대책은 ‘글쎄’

휴대성과 친환경적인 요소를 바탕으로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이 커지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국내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은 2016년 6만 대에서 2022년에는 20만 대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동킥보드의 경우 공유 서비스 업체의 시장 진출이 늘어나며 이용객

동향
안호진 기자
2019.12.19

정부 R&D 예산 확대 편성, 기업 체감은?

4차 산업혁명시대의 도래로 연구개발(R&D)의 중요성이 점차커지며 정부의 관련 예산도 빠르게 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를 포함한 내년도 정부 연구개발 예산이 올해 대비 18% 증가한 24조2천200억 원으로 편성됐다. 정부 R&D 예산 증가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것은

전시회
박재영 기자
2019.12.17

신산업 말라 죽이는 '대못·중복·소극규제' 등 각종 규제 드러나

융복합 신산업이 규제에 발목잡히고, ‘규제 인프라 미비’, ‘이해갈등’이라는 이유로 사업추진이 지연되는 등 신산업 발전을 저해한 규제가 드러났다. 국내 신산업에 어떤 규제가 얽히고 설켜있는지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규제현황을 분석한 자료가 발표됐다. 발표자료에는 신산업을 키우

동향
김지성 기자
2019.12.10

걱정 반 기대 반, 한·아세안 협력(下)

5일자 본지의 ‘걱정 반 기대 반, 한·아세안 협력(上)’이라는 제하의 보도와 관련, 경희대학교 정주영 교수와 얘기를 더 나눴다. ◆ 향후 아세안 성장의 방향·양상 예측 아세안의 기술 추격에는 장단점이 명확히 존재한다. 한국이 고부가가치 상품만 생산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중소기업들이

동향
신수정 기자
2019.12.06

걱정 반 기대 반, 한·아세안 협력(上)

지난 11월 25일부터 26일까지 ‘신남방정책’의 일환으로 개최한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성공리에 마무리됐다. 이번 회의는 한국 기업이 향후 아세안 성장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됐다는 평가다. “베트남처럼 급성장하는 국가도 있고 인구도 많고... 미래 아세안은 현재 중국처

동향
신수정 기자
2019.12.05

“드론 기체 국산화 보다 솔루션 개발 투자 절실”

지난해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는 ‘스마트 건설기술 중장기 로드맵’ 수립 이후 국가 R&D 추진, 창업지원, 정보유통 플랫폼 구축 등 국내 스마트 건설 산업 활성화를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이를 통해 건설분야 사망만인율(근로자 1만 명당 발생하는 사망자 비율)을 2016년 1.76%에서

전시회
김지성 기자
2019.11.28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