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뉴스

‘글로벌 그린 허브 코리아’ 개막…34개국 발주처와 협력 확대

재생에너지와 탄소 감축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사우스 중심의 해외 프로젝트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과 공동으로 11일부터 사흘간 서울 코엑스에서 ‘2025 글로벌 그린 허브 코리아(Global Green Hub

에너지
김아라 기자
2025.06.11

LS전선, 세계 최대 용량 HVDC 케이블 상용화

탄소중립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초고압직류(HVDC) 송전 기술에서 국내 기업이 세계 최초 상용화를 이뤘다. LS전선은 525kV급 고온형 HVDC 케이블을 개발하고, 한국전력의 ‘동해안-수도권’ 1단계 송전망 사업에 단독 공급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도체 허용 온도를 기존 70℃에

전기
허은철 기자
2025.06.11

제조업체 10곳 중 3곳, 퇴직자 재고용으로 인력난 대응

고령화와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는 가운데, 경기도 내 제조업체들이 퇴직자 재고용을 통해 인력난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년제보다 유연한 고용 모델로 중고령 인력을 활용하려는 흐름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경기도일자리재단 일자리연구센터는 10일, 도내 5인 이상 사

동향
김지운 기자
2025.06.10

[산업 톺아보기] 그는 아직, 일하고 있었다

점심시간이 끝난 공장은 조용했다. 기계 소리도, 사람 소리도 들리지 않았다. 다만 한 남자가 있었다. 깎아지른 이마에 희끗한 머리카락, 그의 손엔 여전히 스패너가 들려 있었다. 그는 정년을 넘겼다. 그러나 퇴장하지 않았다. 누군가는 물러날 나이라고 말했지만, 그는 남았다. 일할 수 있어

동향
박재영 기자
2025.06.10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동향
허은철 기자
2025.06.10

디지털 자산, 투자 확대 움직임 본격화…국민 10명 중 6명 “앞으로 더 투자할 것”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법제도 정비 전망과 글로벌 정책 변화가 맞물리면서 암호화폐, NFT, 토큰증권 등 디지털 자산에 대한 투자 확대 의향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규제보다는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 컸다. 대한상공회

동향
허은철 기자
2025.06.10

6G부터 안내로봇까지…ETRI, 차세대 ICT 미래 기술 대중에 공개

초고속 6G 전송부터 감성형 인공지능 로봇까지,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ICT 기술을 대중 앞에 선보이며 기술 강국의 청사진을 제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5일 서울 코엑스에서 ‘ETRI 컨퍼런스 2025’를 개최하고, AI·양자·디지털융합 등 전략 분야를 아우르는 최신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전자
조준상 기자
2025.06.10

AI·클라우드·보안 삼위일체…글로벌 제조업 디지털 혁신 가속도

첨단 스마트 제조 기술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제조업계의 전략적 대응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인공지능(AI), 머신러닝, 클라우드 기반 통합 시스템 등 혁신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는 가운데, 사이버보안 역량 강화와 인력 전략 재편이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산업 자동화 전문 기업

FA
허은철 기자
2025.06.10

무역업계, “AI 도입은 필수”… 그러나 활용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인공지능(AI) 기술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출산업의 구조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국내 무역업계는 여전히 AI 활용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산업 AI 생태계를 조성하고, 핵심 산업의 AI 내재화를 본격 추진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무역협회

동향
김아라 기자
2025.06.09

SIMTOS 2026, 조기 참가신청 5천 부스 돌파

국내 최대 생산제조기술 전시회인 SIMTOS 2026(제21회 서울국제생산제조기술전)이 참가신청 개시 25일 만에 5천 272부스를 기록하며 역대 조기 참가신청 최다 기록을 세웠다. 이는 전체 목표의 87.8%에 달하는 수치로, SIMTOS 2024에 대한 높은 만족도가 반영된 결과다. 글로벌 제조기업 대거 참가

기계
김지운 기자
2025.06.09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