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회에서 살펴본 한국 철도교통의 미래]①한국철도공사’편(본지 6월 30일자 보도)에서 이어집니다. 국가철도공단(이하 KR)은 2004년 철도청의 건설·시설분야와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이 통합돼 한국 철도의 건설 및 시설관리를 맡고 있다. KR은 지난 30일 막을 내린 ‘2023 국
1899년 대한제국의 한성에서 전차가 운행을 시작하고 경인선이 개통한 이래, 철도 교통은 우리 일상의 당연한 순간이 돼왔다. ‘철도의 날’이었던 지난 28일,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23 국토교통 기술대전’은 국가기간산업 R&D 전문 통합행사로 기획됐다. 한국철도공사와 국가철도공단은
많은 기업이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이하 UAM)의 상용화를 목표로 경쟁하고 있다. 본격적인 상용화는 2030년으로 예상되지만, 성장 가능성이 큰 UAM 시장을 미리 선점하기 위해서다. UAM 상용화 전략을 논의하는 ‘미래 도심항공모빌리티 상용화 사업전략 및 추진방안 세미나’가 세미나허브
별도의 전문건설업 기업이 제품을 설치하게 되면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이 어렵고 AS 필요시 책임소재가 불분명해지는 문제점이 있어 제품을 생산한 제조기업은 직접 설치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장점으로 내세우기도 한다. 그런데 중대재해처벌법 등이 강화되면서 발주처에서 전문건설업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이하 UAM)은 자동차 중심의 지상 교통체계를 공중으로 확장한 것으로, 저고도(300m~600m)의 하늘길을 이용하는 새로운 항공 운송 생태계 전체를 의미한다. 기존의 항공교통은 승객이나 화물을 높게, 빠르게, 멀리 운송하는 것이 특징인 반면, UAM은 도심 저
인류는 고대부터 전투에 동물을 사용했다. 후각, 지구력 등 인간보다 뛰어난 동물의 신체적인 능력을 통해 상대보다 우위를 선점하고자 했다. 세계대전과 냉전을 거치며 개를 훈련시켜 탱크 밑으로 들어가 자폭하게 하거나, 돌고래로 기뢰 탐지를 하는 등, 위험한 임무에 동물을 투입시키기도 했
전동화, 커넥티드 카, 자율주행, 차량 공유 서비스의 네 가지 트렌드는 모빌리티 산업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22일 상암 중소기업DMC타워에서 진행된 ‘2023 미래모빌리티 트렌드 및 완전 자율주행차 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었다. 자율주행 및 커넥티드 카, 직‧간접 수입원 창출 커
모빌리티 산업은 자율주행, 커넥티드 카, 전기자동차, 차량 공유 서비스 등 새로운 기술 트렌드가 도입되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완성차 업체와 부품사뿐 아니라, 거대 IT 기업도 미래 먹거리를 찾으려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모빌리티 산업의 미래를 조명하는 ‘2023 미래모빌리티 트렌드 및
메타버스 기술은 팬데믹 시기 단절된 개개인을 연결해 주고, 더 먼 곳이나 존재하지 않는 곳까지도 데려다 주며 발전을 거듭해 왔다. 가상현실 기술을 토대로 사이버 공간과 물리 공간의 경계를 희미하게 하는 메타버스는 그 특징 자체로 양날의 검이기도 하다. 현실과 밀접한 메타버스에서의
1974년 출시된 대한민국 첫 양산형 국산차 ‘포니’와 타임라인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회 '포니의 시간‘이 9일부터 강남구 현대 모터스튜디오 서울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건물 5층에서부터 아래로 차례로 이어지며 포니의 탄생부터 포니를 오마주한 전기차, 수소 하이브리드 차량, 대한민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