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AI 로봇 혁명, 올해 산업 현장을 뒤흔든다

글로벌 로봇 산업이 2025년을 맞아 인공지능(AI)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주요 해외 매체들의 보도를 종합하면, AI 통합, 협동 로봇(코봇), 모바일 매니퓰레이터 등의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는 제조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

로봇
김지운 기자
2025.02.11

“한 번 더 도전한 사람이 기회를 잡는다”

“한 번이라도 더 도전하는 사람이 승자다.” 취업 실패를 반복하면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중국과 싱가포르에서 연이은 불합격을 겪고도 다시 도전한 청년이 있다. 그는 글로벌 채용 정보를 꾸준히 확인하며 기회를 모색했다. 결국 말레이시아 외국계 기업의 콘텐츠 모더레이터로 취업에

동향
김아라 기자
2025.02.07

환율 급등 장기화 시 경기 하방 위험… “실물·금융 정책 대응 필요”

국내 원·달러 환율이 1천400원대 중후반에서 등락하는 가운데, 정치적 갈등과 실물·금융 리스크가 결합하며 복합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 SGI(지속성장이니셔티브)는 4일 발표한 ‘환율 급등 시나리오별 경제적 영향 및 대응’ 보고서를 통해 환율 상승의 구조적 원인

동향
허은철 기자
2025.02.05

제조업 현장 사고 위험 'AI'로 안전 사각지대 없애

제조업 현장에서의 안전사고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이를 해결할 혁신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통계는 제조업 안전사고의 심각성을 보여주며, 보다 효과적인 예방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의 2023년 산업재해 통

동향
김지운 기자
2025.02.04

생성형 AI 시장, '딥시크' 출현으로 판도 변화 예고

생성형 AI 기술은 챗지피티의 등장 이후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하며 다양한 툴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제미나이, 퍼플렉시티, 뤼튼, 클로드, 미드저니 등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 AI 툴들이 사용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지만, 정작 사용자들은 자신에게 맞는 툴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동향
조준상 기자
2025.01.31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혁신 핵심 자리매김… AI와 결합 미래 이끈다

인간의 모습을 한 로봇, 즉 휴머노이드 로봇이 산업 현장에서 혁신을 이끌 새로운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AI 기술의 발전과 맞물려 휴머노이드 로봇의 능력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면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그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삼성SDS의 보고에 따르면, MEMS,

로봇
박재영 기자
2025.01.31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장비
박재영 기자
2025.01.30

정치·통상 불확실성 확대, 기업 체감경기 4년 만에 최저

정치·통상 불확실성이 커지며 기업 체감경기가 4년 만에 급락했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진행한 ‘2025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BSI)’ 조사에 따르면, 1분기 기업 체감경기는 61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85) 대비 24p, 전년 동기(83) 대비 22p 하락한 수치로,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동향
허은철 기자
2025.01.23

설 연휴, 얇아진 지갑에 ‘가성비’ 중심의 실속형 소비 확산

국내 정치 불안과 고물가, 경기 불황 등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되면서, 올해 설 명절에는 가성비 위주의 실용적인 소비가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 명절 소비인식 조사'에서 응답자의 31.6%가 ‘지난해보다 지출을 줄일 계획’이라

동향
허은철 기자
2025.01.22

고환율 기조,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원자재 비용 상승에 부담 가중

고환율 기조가 지속되면서 국내 산업 전반에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출 효과에 대한 기대감보다 원자재 수입비용과 해외투자비 상승에 따른 부담이 더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시대의 고환율 지속 우려 속에서, '환율 리스크'에 대한 업계와 정부의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

동향
허은철 기자
2025.01.20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