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처벌법 시행 1년이 지났다. 16일 일산 킨텍스에서 개최된 건설·건축 전문 전시회 ‘2023 코리아 빌드 위크(KOREA BUILD WEEK)’(이하 전시회)에서 산업계의 대응을 살펴봤다. 중처법 시행 1년, 법률 전문가가 본 산업계 대응은 전시회에서 만난 김건희 노무법인 다현 공인노무사는 “중처
화재 사고의 일반적 특징에는 확대성이 있다. 작은 불씨가 주변부로 옮기며, 삽시간에 큰 불길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피해를 최대한 경감시킬 수 있는 소방·방재 제품의 유무는 화재 규모에 큰 영향을 미친다. 최근 눈길을 끄는 소방·방재 제품이 무엇이 있을지, 16일 일산 킨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의 시정 명령과 과징금 처분에 카카오모빌리티가 즉각 반박하며 갈등이 첨예해지는 가운데, 한국판 ‘디지털시장법(DMA)’을 표방한 ‘온라인플랫폼 시장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법안)’이 발의됐다. 법안을 발의한 이동주
10여 년 전만 해도 전기차는 개발이 더뎌 상용화는 시기상조라는 평가가 잇따랐다. 하지만, 지난 2012년 미국 자동차 제조 기업 테슬라가 내연기관 차량에 버금가는 전기차를 출시하면서, 자동차 업계에 큰 파장이 일었다. 현재 전기차는 전 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친환경 기조와 함께 점차 내연
전 세계 전기차 제조업계가 급변하는 모빌리티 시장에 발맞추기 위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내 업계 역시 관련 시장을 확대하고는 있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부품에 대한 원료 수급과 공급망 위기, 소·부·장 인력 및 인프라의 부재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서다. 이미 관련 업계는 미국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일자리나 서비스 제공,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사회적기업 인증제도'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있다. 엄격한 인증 요건이 도리어 기업 활동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사회적기업 인증제는 정부가 직접 사회적 기업을 골라네, 육성하고
지속가능성은 모든 산업에 걸쳐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특히 탄소중립은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한 바탕으로, 전 세계 기업의 목표가 되고 있다. 반도체 업계도 자유로울 수 없다. 유럽의 탄소 국경 제도,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직접 반도체 산업을 타겟으로 삼고 있지는 않지만, 다양한
고객은 제품이 아닌 경험을 산다는 말이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있어서 고객경험은 제품과 서비스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았다. 실제로, 미국 경제전문지 포브스는 고객경험 개선에 힘쓴 기업의 84%가 매출 성장을 이뤘다고 발표했다. 고객지원 솔루션 기업
수도권으로 번진 학령인구 감소 문제 최근 수도권 내 초·중·고의 폐교가 늘고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가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지난해 8월 서울시 교육청은 공고를 통해 도봉고등학교 통폐합에 따른 2023학년도 1학년 신입생의 미배정을 알렸다. 서울시 첫 일반계 공립고교의
최근 정부는 건설 현장 내 암묵적으로 행해지던 관습 행태를 뿌리 뽑기 위해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지난 19일에는 경찰이 양대 노총을 포함, 건설 노조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특히, 오래 전부터 이어오던 타워 크레인 기사들의 월례비 관행을 뿌리 뽑겠다는 심산이다. 월례비는 각